나에게 있어 '애덤 스미스'는 중학교 시절 시험기간에 '보이지 않는 손'과 함께 달달 외워댔던 기출 예상문제의 답 중 하나였다. 경제학자로 알고 있던 '애덤 스미스'가 "도덕 감정론"이라는 책을 썼다는 것은 의외였다. 이 책은 '도덕 감정론'을 현대에 맞게 풀어 쓴 책이다. 행복하고 좋은 삶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며, 어떻게 하면 그런 삶을 살 수 있는 가에 대해 얘기한다. 인간의 이기심과 시장의 자유를 주장한 경제학자가 말하는 좋은 삶이란 무엇일까?
애덤 스미스는 인간이 아무리 이기적인 존재라 할지라도 기본 바탕에는 이와 반대되는 선한 본성(다른 사람의 운명과 처지에 관심을 갖고 자신에게 아무런 이득이 없을지라도 다른 사람의 행복을 진심으로 바라는)이 있다고 말한다. 사람이 가장 큰 신경을 쓰는 대상은 바로 자신이지만 무턱대고 비도덕적이고 이기적이지 않은 이유는 각자 마음 속의 '공정한 관찰자'(나와 대화를 나누며 내 행동이 도덕적인지, 어떤 행동이 옳은지 판단해 주는 상상 속 인물) 때문이다. 공정한 관찰자는 인간이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실을 상기시키며 겸손하라고 조언한다. 내가 남들보다 더 중요한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을 떠올리면, 타인을 배려할 수 있으며 이기적인 감정과 이타적인 감정이 충돌할 때 잘 공정한 관찰자를 떠올리면 객관적으로 나를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에 대해서는 '내가 사랑받고 있고 또한 사랑받을 자격이 있다는 사실을 알 때' 행복하다고 말한다. 사랑스러운 사람처럼 보이거나 착각하게 만드는 것으로는 진정한 행복을 얻지 못하며 진정한 행복을 느끼기 위해 사랑스러운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돈이나 명예를 갖는다고 행복하지 않다고 말한다. "인간의 삶이 비참하고 혼란스러운 가장 큰 이유는 소유물이 곧 나 자신이라 착각하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서 나도 모르게 아! 하고 감탄했다. 그리고 좋은 옷, 최신 기기 등을 뽐내던 내 자신이 부끄럽게 느껴졌다. 스미스는 사랑받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현명하고 도덕적인 사람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신중, 정의, 선행을 갖춘 사람이 되어야 한다.
신중=자기 자신을 돌본다
정의=다른 사람을 해치지 않는다
선행=다른 사람을 선한 마음으로 대한다.
어쩌면 "도덕감정론"은 "국부론"과는 내용이 많이 상반된다. 이에 대해 저자는 "국부론"은 잘 모르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고, "도덕감정론"은 자주 만나고 친한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사실 다른 자기계발서에서 많이 얘기되었던 내용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애덤 스미스가 제시하는 좋은 삶의 방법이 새롭거나 크게 흥미를 유발하진 않았다. 오히려 사람들이 왜 자신과 상관도 없는 일에 슬퍼하고 이타적으로 행동하는지 등 이유를 설명해 나가는 부분이 더 흥미로웠다. 이를 통해 나 혹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며칠 전 "어쩌다어른"을 보게 되었는데 허태균 교수는 한국 사람들이 불행한 이유는 남들과 비교하기 쉬운 물질적이고 명확한 기준(성적, 재산 등)에 집착하기 때문이며 행복하기 위해서는 비교하기 어려운 자신만의 가치(사랑, 정의, 평화 등)가 필요하다고 얘기했다. 애덤 스미스가 말한 행복하고 좋은 삶의 기준이 어떤 이들에게도 좋은 삶의 기준이 될 수도 있겠지만 모두에게 해당되는 기준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행복하고 좋은 삶을 살기 위해 나에게 무엇이 필요할까 고민하고 나만의 가치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게 노력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