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흔히 북한의 모습을 뉴스로 본다.
독재자, 핵 개발, 독특한 억양의 아나운서, 탈북자 등등 북한에 대해 접하는 이미지들이 있지만 한정적이다.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 어떨지는 대충 짐작만 할 뿐, 자세히 알지도 못했고 사실 그만큼 관심을 두지 않았다.
마침 요즘 뉴스에서 북한 문제로 떠들썩하던 찰나,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첫 소개에 북한에 살고 있는 작가가 목숨을 걸고 써서 반출시킨 소설이라고 되어 있어서 그냥 그렇구나 했는데,
읽고보니 그것은 엄청난 용기였고 파장이었다.
만약 나였다면, 소심한 배포로 그런 일을 해낼 수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다양한 북한 사람들의 이야기들로 구성이 되어있다.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상황들이 나오지만 종내 깨닫게 되는 것은 무엇인가 잘못 되었다는 것이었다.
부조리함과 답답함과 억울함을 가슴에 품고 살아가다가 어느 순간 폭발하며 깨닫게 되는 모습들이었다.
그것은 부모님의 죽음이 계기가 되기도 하였고,
평생을 바쳐온 삶이 모조리 부정당하는 사람을 보는 순간에서도,
뻔뻔스러운 독재의 민낯을 본 순간 등 각자 다른 경험과 순간으로 맞이한다.
겉으로는 모두가 행복한 나라, 위대한 수령님이라고 하며 웃음 짓지만 그 사람들은 모두 웃는 가면 속에서 울부짖고 있었다.
모두가 평등한 사회를 만들기는 커녕 더욱 더 철저한 계급사회가 생겨나고
한 사람을 위해 모든 사람들의 편의가 무시되고 심지어 생명의 위협을 받고
잘못된 것을 보고도 바로잡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너무도 답답한 사회였다.
그러나 반발은 곧 죽음이었고, 그들에게 주어진 삶은 살얼음판을 걷듯 그것을 견뎌내는 것이었다.
그것이 같은 한반도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이라는 것이 더욱 끔찍하게 다가왔다.
책을 읽는 내내 기가 차서 헛웃음이 나오고 심지어 욕이 나오기도 했다.
우상숭배, 독재, 그것이 정말 공산주의의 본질인가.
그들은 왜 그런 사회를 살게 되었고 어쩌다가 쉽사리 깨뜨릴수도 없는 세상에 갇히게 된 것일까.
인간의 상식으로는 말도 안되는 그런 일들이 통제된 그 세상 속에서는 아무렇지 않게 자행되고 있다는 사실이 소름끼쳤다.
새삼 내가 북한에서 태어나지 않은 것이 정말 행운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렸을 때 불평불만이 있을 때 친구들끼리 우스갯소리로 하던 소리가 정말 진심으로 다가온 순간이었다.
책을 다 읽고 느낀 것은 이 책은 정말 고발하는 책이다.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알고자 하지 않았던 북한의 실상에 대해서
고발하고 있다.
그 고발에 대해서 우리는 들어줘야 하지 않을까.
같은 말을 쓰고 같은 얼굴을 한 사람들이 외치는 소리를
외면하지 말고 귀 귀울여 들어줘야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사람들이 생각하기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이 그들을 관리하는 정부에게는 얼마나 행운인가."
-아돌프 히틀러-
이 독재자의 말이 의미하는 바를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나는 북한 사람들은 생각 없이 그들의 독재에 충성을 다한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보니 아니었다. 모두가 그렇지는 않았다.
그들도 생각하고 있었다. 그래서 잘못된 것을 느끼고 있었다.
인간은 자유로운 동물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억지로 울타리를 쳐서 막아놓는다고 막아지는 것이 아니다.
균열이 한 개, 두 개 생겨나면 울타리는 버티기 힘들어질 것이다.
그 자유에 대한 본능은 무서운 것이어서 언젠가 그 균열은 울타리 전체를 잡아먹을 것이다.
그렇게 울타리는 무너지고 자유는 인간에게 돌아갈 것이다.
나는 적어도 그렇게 생각한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균열을 발견했다.
언젠가 분단된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 같은 민족이었던 그들에게 그런 날이 오기를 바란다.
작가의 용기에 박수를 보내며
보다 많은 사람들이 작가의 고발을 들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