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콥터에서 돈을 뿌리듯 국민 개개인의 호주머니에 현금을 채워주겠다는 발상은 저소득층의 소득과 소비 증가를 겨냥한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성향이 높은 저소득층의 화폐(자산) 보유를 늘려 경기활성화와 성장잠재력 증가를 기대한다는 것이죠. 이런 식의 분수효과는 거의 용도 폐기된 낙수효과를 대체해 시도해 볼만한 기획입니다. 고착화된 저물가 시대에 인플레이션에 대한 부담은 적고, AI가 일자리를 위협하는 시대에 실효성 있는 기본소득 실천방법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