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leonjung님의 서재
  •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
  • 박지숙
  • 11,250원 (10%620)
  • 2024-11-25
  • : 175




청어람 주니어의 “여성 인물 도서관”시리즈는 역사의 책갈피에 숨어있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꺼내어 초등학생들에게 들려준다. 1권 <조선 최초의 수렴청정 정희왕후>로 시작해서 10번째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으로 끝을 맺는다. 나는 6권 <일제 강점기 최초의 여성 의병장 윤희순> 부터 10권까지 서평단 지원도서로 받아 읽게 되었다. “여성 인물 도서관”시리즈의 인물들을 접하며 놀랍고도 고마웠다. 이름만 알았지 업적은 잘 모르거나 아예 처음 만나게 된 인물도 있었다. 같은 여성으로서 그들이 겪은 고난이 십분 이해되었다.


시리즈의 마지막 인물인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을 만나보자. 1923년 경상북도 경산에서 태어난 박남옥은 경북공립고등여학교(현 경북여고)에서 투포환 선수로 활동했고, 1943년에는 이화여자전문학교(현 이화여대) 가사과에 입학했다. 박남옥은 시대가 요구하는 여성상이 아니었다. 어릴 때부터 하고 싶은 것도 많고 꿈도 많았던 박남옥이 시도하려는 것은 죄다 여자라는 이유로 좌절되었다. 마침내 박남옥이 반기를 든 사건이 벌어졌다. 영화를 보는 재미에 푹 빠졌던 그녀는 영화 포스터를 기숙사 방에 걸어두었는데 그것을 본 사감이, “쯧쯧, 좋아하는 것이 겨우 영화라고? 당장 떼어 버려!”라고 말했다. 이에 박남옥은 학교를 박차고 나왔다.


박남옥의 취미는 영화배우의 브로마이드를 모으고 사진을 스크랩하는 것이었다. 자신이 모은 방대한 스크랩 북에 더해 영화 감상까지 꼼꼼하게 쓰고 전문 서적을 찾아 보충 기록까지 해두었다. 이렇게 준비해 둔 자에게는 항상 기회가 찾아오기 마련! 그녀는 조선영화사 광희동 촬영소에서 문화 뉴스를 촬영하는 일을 했고, 1944년에는 대구로 내려가 ‘대구일일신문’ 기자가 되었다. 이듬해 해방을 맞자 박남옥은 자신의 실력에 회의를 느꼈다. 우리말보다 일본어를 더 잘하는 자신은 신문을 만들 자격이 없다고 생각하여 신문사를 그만두고 조선영화사 광희동 촬영소로 돌아갔다.


여기까지만 봐도 그녀가 얼마나 진취적이고 꼼꼼하며 정직한 인물인지 가늠할 수 있다. 뒤이어지는 내용은 우리나라에서 첫 여성 영화감독으로 데뷔하는 과정이 그려진다. 나는 그동안 이 시리즈의 서평을 쓰면서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여성들이 얼마나 힘들었는지를 강조했다. 동성이기에 공감하는 지점이 분명한 것도 있었지만 그 부분은 남학생들이 읽더라도 충분히 배울 점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세상이 이렇게 좋아졌는데 뭐가 힘들다고... 요즘 애들은 너무 나약하다.’라는 말을 하는 이들을 싸잡아 꼰대로 치부했었다. 그런데 이 시리즈로 만난 인물들의 활동들을 보니 그런 말 할 수도 있겠다 싶었다. ‘요즘 젊은이들은 다른 것으로 충분히 힘들다고, 시대가 달라졌는데 같은 잣대로 평가하지 말라’는 반박이 잘못 되었다는 뜻은 아니다. 여성을 남성보다 훨씬 부족한 존재로 취급하던 시절에 여성이 제 능력을 펼쳐 보이기 위해 얼마나 힘이 들었을까. 그 시절을 산 사람이 아니고는 짐작조차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다. 그렇기에 이 “여성 인물 도서관” 시리즈는 많은 아이들과 부모들이 같이 읽길 바란다. 우리나라 각 분야에서 처음이었던 여성들의 활동을 보면서 시대를 이해하고 삶을 대하는 그들의 태도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나는 박남옥이 아기를 업고 종횡무진 촬영장을 뛰어다니고 스테프의 밥을 해먹인 부분을 읽으며 가슴이 먹먹해졌다. 일과 가사와 양육을 거의 혼자 하면서 나는 늘 생각했었다. ‘누가 집안 일 만이라도 해주면 책을 좀 더 읽을 수 있을 텐데, 수업 준비를 더 잘 할 텐데...’ 박남옥도 감독으로서 할 일이 너무 벅찬 나머지, ‘도와줄 사람이 있으면 좋을 텐데... 영화 촬영에만 집중할 수 있으면 좋을 텐데...’라고 생각했다. 기존에 여성으로서 공감하며 읽었던 다른 인물들보다 박남옥의 삶에 훨씬 감정이입된 부분이었다. 이렇게 여자는 일하는 남자가 하지 않는 걱정을 기본적으로 하면서 산다. 세상이 많이 달라졌다고 해도 변하지 않는 것은 분명 있다. 남학생들이 얼마만큼 공감할지는 모르겠으나 이 책은 엄마와 아들이 같이 읽고 활동하면 더욱 좋겠다.


청어람 주니어가 제공하는 독후 활동지는 교사가 아니어도 아이들과 같이 풀어보고 이야기 나눌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낱말 퍼즐로 어휘를 익히고, 독서 퀴즈로 줄거리를 확인한 후 시놉시스 쓰기, 토의 토론하기 등을 해볼 수 있다. 남옥이 영화 대사를 떠올리며 어려운 상황을 이겨냈던 것처럼 학생들도 자신이 좋아하는 영화나 드라마 대사, 노래 가사, 책 속 문장들을 이야기 나눠보는 활동을 추천한다. 또 이 책에는 주인공과 그 가족이 한국전쟁으로 인해 겪은 고초가 그려지고 있다. 현재 전쟁으로 힘든 나라들이 있고 어린이는 늘 피해의 대상이다. 반전을 주제로 토의 토론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도 강조했다시피 청어람 주니어의 “여성 인물 도서관” 시리즈는 여성을 전면에 내세웠지만 어려운 시대에 자신의 자리에서 우뚝 선 인물들의 삶을 통해 인간의 태도를 배우기에 안성맞춤인 책이다. 초등학교 필독서로 지정되면 좋겠다. 시리즈에서 다룬 인물은 어른이라 해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 그러므로 학생과 교사, 학생과 부모가 꼭 같이 읽기를 바란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