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mshyuk님의 서재
  • 진화심리학
  • 데이비드 버스
  • 28,800원 (10%1,600)
  • 2012-06-13
  • : 9,688

7장. 양육 문제

대부분의 부모는 자식을 사랑한다. 그리고 어머니는 유독 자식을 많이 보살핀다. 그 이유로는 두 가지의 가설이 있다. 바로 ‘부성 불확실성’ 가설과 ‘짝짓기 기회 비용’ 가설이다.

 아기가 태어났을 때 그 자식의 어머니는 확신할 수 있지만 아버지는 확신할 수 없다. 암컷이 다른 수컷과도 짝짓기를 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부성 불확실성의 문제이다. 아버지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자식이 사실은 다른 수컷의 자식이라면 자식을 키우기 위해 들어간 비용이 모두 물거품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아비는 어미보다 자식에게 투자를 적게 한다.

 다른 가설은 자식에게 투자할 비용을 다른 배우자를 얻는데 사용하는 것이 더 이득이기 때문에 투자를 적게 한다는 것이다.

 자식에 대한 부모의 투자는 ‘유전적 근연도(진짜 내 자식?)’, ‘보살핌을 적합도로 전환시키는 능력(투자가 생존과 번식에 얼마나 영향을 줄까?)’, ’자원의 대체 용도(기회 비용)’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사람들은 아버지의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자식이 아버지와 닮았다고 한다. 유전적 근연도가 낮은 계부모는 아동 학대를 할 확률이 높다. 아이가 건강하고 나이가 많을수록(번식 가치가 높을수록) 살해당할 위험이 줄어든다. 어미의 나이가 어리면 다시 번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영아 살해를 할 확률이 높다. 배우자에게 인기가 많은 남자는 자식에게 투자를 적게 한다. 위의 예시들은 모두 3가지의 요소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지지하고 있다.

 부모와 자식 간에는 자원 배분을 놓고 갈등이 일어나는데 부모는 모든 자식에게 균등하게 배분하기를 원하고 자식은 자신이 독점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이는 유전적 근연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부모가 자식의 결혼에서 가족 배경을 중시하고 자식은 미모를 중시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8장. 친족 문제

해밀턴 규칙이란 포괄 적합도 이론을 공식화 한 것으로 ‘c<rb’이다. c는 비용, r은 유전적 근연도, b는 편익이다. 동물은 이 공식에 맞춰서 진화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땅다람쥐는 적이 침입했을 때 가족들을 위해 자신이 희생하는데 이 것은 해밀턴 규칙에 성립한다. 그리고 친척이 있으면 생존율이 늘어나는데 포괄 적합도 이론에 따라 서로 돕기 때문일 것이다.

윌슨은 친족 심리학의 보편적 측면에 관해 가설을 제시했는데, ‘자기 중심적인 친족 용어가 나타날 것이다.’ ‘친족 제도(관계)는 성, 세대, 유전적 근연도를 중심으로 구분될 것이다.’ ’연장자는 젊은 구성원에게 방계 친족에게 이타적으로 행동하라고 할 것이다.’ 등이다. 친족 용어는 다른 사람을 설득할 때에도 쓰이는데 친족 심리를 자극하기 위함이다.

 포괄 적합도 이론은 상속을 통해서도 검증할 수 있다. 상속은 친족과 배우자에게, 먼 친척보다는 가까운 친척에게, 형제보다는 자식에게 이루어진다. 유언을 남길 때쯤에는 형제는 나이가 많아 자식보다 번식 가치가 낮기 때문이다. 남자들은 자식보다 부인에게 재산을 남기지만 여자는 자식에게 남긴다. 왜냐하면 여자가 죽고 난 다음 남편이 재혼해 다른 자식을 낳고 여자의 유산이 다른 자식에게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조부모는 자신과 유전적 근연도가 0.25인 손자에게 투자를 하는데, 외할머니>외할아버지>친할머니>친할아버지의 순으로 많이 투자를 한다.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은 부성    불확실성의 영향이고 외할아버지가 친할머니보다 높은 것은 나이가 많은 사람이 불륜을 저지를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모>고모>외삼촌>삼촌의 순으로 투자가 이루어지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이는 남자는 잉여 자원을 짝짓기 기회에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가족은 포유류 중 단 3%만이 이룰 정도로 흔치 않은 현상이다. 왜냐하면 가족 내에 있을 경우 번식이 억제되어 큰 번식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가족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이론은 두 가지가 있는데 ‘생태학적 제약 모형’과 ‘가족 편익 모형’이다. 전자는 번식 공간의 빈자리가 부족해 비용이 사라지는 경우이고 후자는 가족에게서 제공 받는 편익이 더 큰 경우이다. 엠렌은 이 두 이론을 합쳐 여러 가지 예측을 냈다. 가족에는 여러 부작용이 있다.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기본 원천은 형제 갈등, 부모-자식 갈등, 부모 갈등이다.

 우리는 흔히 가족은 함께 나누는 것이 최대의 이익을 내는 곳이라 믿는다. 그래서 자원배분을 놓고 갈등을 일으키기 쉽다. 하지만 가족 갈등의 진화 논리를 이해하면 상대를 이해하고 관용을 베풀어 갈등을 완화할 수 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