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언은 사람들이 사회에서 기본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윤리적 감각을 흔든다. 역사를 왜곡하고, ‘침묵하는 다수’라는 실체가 있다는 믿음을 심어준다. 결국 혐오 감정을 배설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권력자의 망언은 윤리적 해방감을 준다. 이 감정이 바로 극우의 정치적 자양분이다. (134쪽)
망언은 생각보다 자생력이 강하고 생산된 뒤로는 스스로 영역을 넓혀간다. 또한 이 망언들은 공통적으로 죽음을 모독한다. (137쪽)
원래 여가부가 뭘 하는지는 모르지만 마음에 안 들던 사람들 (…) 여경 무용론부터 여가부 무용론까지, 여성은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를 끊임없이 증명해야 한다. (219-220쪽)
여성부가 ‘특수한 집단만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말이야말로 여성을 보편적 시민으로 보지 않는 반인권적 시각이다. (223쪽)
‘여성가족부’를 폐지한 후 그 업무를 보건복지부 산하 ‘인구가족양성평등본부’로 이관하겠다는 뉴스가 떴을 때, 경악을 금치 못했다. 저 괴상한 명칭은 또 무엇이며…? 2016년 ‘가임기 지도’의 악몽까지 다시금 떠올랐다.
폐지해도 기존 기능이 없어지는 게 아니라며 사람들을 진정시키려 했지만 외려 반발하는 목소리는 더 커지고 있다. 주말에는 여가부 폐지 반대 집회가 열리기도 했다.
지금 이 시점에, 왜 또 다시, 여가부를 못 건드려서 안달일까. 사람들의 반응을 살펴봤다. 20대 남성 지지율 회복하기? 대선 공약 지키기로 ‘보수’층 유권자에게 효능감 부여하기? 안보‧경제 위기 회피책? 혹시 일본군 ‘위안부’ 지원 문제가 크게 얽혀 있지는 않을까? 다양한 추측이 오가는 가운데 사회가 또 한 번 혼란에 휩싸였다. 다들 비슷한 마음이었다. 정치적으로 해석을 안 하려야 안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식민 사관에 입각한 ‘발언’을 해 논란을 빚은 정치인은 또 어떠한가. 질문을 던진 기자들에게 “제발 공부들 좀 하”라며 나무라는 태도도 심각했다. 한편으로는 그의 ‘망언’이 연일 조명되는 것과 그가 어떤 해명을 더할지 기다리는 청중이 존재한다는 것, 이 자체가 권력의 상징이란 걸 새삼 깨달았다. 역시나 보수 언론에서는 양비론을 펼쳐 가며 사람들의 판단을 흐려 놓기까지 하니, 씁쓸한 면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최근에 시끌시끌했던 뉴스를 끌어와 조잡한 리뷰를 남기지만, 책 안에는 더 다양한 ‘말’에 대한 비판과 관련 사건‧사고들이 실려 있다.
다만 이 책의 모든 의견에 동의할 수는 없다. 나에게는 퍽 불편한 독서였다. 그럼에도 읽기를 포기하지 않은 건, 저자가 머리말에서 제시한 ‘아름다움’의 의미만큼은 이해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말의 위계’에 대해 곱씹어 보기 좋은 책인 건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