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가 <황혼에서 새벽까지> 하고 비슷한 설정이라고 들었는데 신기한 경험을 했다. 영화 중반에 뱀파이어가 등장하려고 분위기를 잡을 때부터 마음이 불편해지기 시작했다. 방금 전까지 친하게 지내던 저들이 표변해서 서로를 물어뜯겠지. 어떤 피칠갑이 펼쳐질라나.하는 심정이었다. 뭐 영화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패밀리'의 연대감을 방금 전까지 보여주던 등장인물들이 배신하면 나쁜 놈이지, 하고 약을 친뒤 피를 튀기는 장면은 영화지만 마음이 아팠다. 하지만, 한바탕 난장판이 벌어진 후 자막이 올라오나 싶더니 나오는 마지막 장면은 이 심란한 영화를 순식간에 서정성으로 물들인다. 이제까지 전개됐던 막가파 설정( <황혼에서 새벽까지>가 처음 등장했을 때 평단 반응은 '막가파 패스티쉬' 였다.)이 하나의 은유와 함의로 변해버린다. 내가 떠올린 것은 <생쥐와 인간>(존 스타인벡) 의 장면이었다.
"조지는 감탄이 가득한 목소리로 말했다.
”거기에 무슨 구경거리가 있든지, 서커스가 오든지, 야구 시합이 있든지, 그밖에 무슨 일이 있으면…………."
캔디 노인이 찬양하듯 고개를 끄덕였다.
“우린 그냥 가기만 하면 되는 거야."
조지가 말을 이었다.
"누구한테도 물어볼 필요가 없어. '구경이나 가지' 라는 한마디로 우린 거리에 나갈 수 있다구. 우유를 짜고 닭 모이를 던져주고 나서 우린 구경을 하러 나가는 거야.“
마치 어떤 판사가 죽기 전에 회심해서 전체 인생이 바뀌었다는 설정처럼 마지막 장면이 전체 영화의 분위기를 바꿔 놓는 것도 신기한 경험이었다.
<문라이트>가 처음 나왔을 때 네티즌 비평 중에 흑인이 백인들 영화를 그럴 듯하게 흉내내서 상을 받았다 라는 식의 비평이 있었다. 즉 원본을 충실하게 모사한 짝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블랙팬서> 가 나왔을 때 흑인의 주류 히어로 첫 진입? 같은 반응이 기억난다. 여기에 깔린 전제는 결국 기준은 백인이라는 것이고 흑인이 백인이 세운 기준을 만족시켰다고 감탄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를 보고 나니 정말로 흑인들이 백인 컴플렉스를 벗어날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세련된 영화다. 단 울나라 기독교인이라면 약간 불편할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