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주받은 걸작까진 아니고 저주받은 수작 정도의 평가를 받은 봉준호의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의 한줄평이 “한낮 아파트의 지리멸렬 헛소동” 이었던 걸로 기억난다. 이 영화를 즐기려면 ‘일상의 소소한 재미’를 느끼는 자세가 필요하다. 별 것 아닌 얘기를 작은 설정 변화와 배우들의 연기로 끌고 가기 때문이다. 뭔가 터지나? 싶어서 기대를 하고 보면 아주 극적인 대목은 없다. 그런데도 끝까지 보게 되는 건 작은 변화들이 계속 시선을 끌기 때문이다. <미키17>을 보고 난 뒤 <플란다스의 개> 의 향기를 느꼈다.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 줄기가 전개되는 게 아니라 각각의 이야기들이 갈래를 치는데 그 지리멸렬함이 <플란다스의 개>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나는 그럭저럭 볼만했는데 재미없다고 하는 사람들은 거대서사에 어울리는 SF 라는 장르와 <플란다스의 개> 식의 ‘미세정서’가 충돌하기 때문 아닐까? 차라리 아무런 사전지식 없이 이 영화를 봤더라면 티모가 “잘 죽고 내일 보자”라고 인사할 때 <플란다스의 개>를 봤을 때처럼 작은 아이러니와 재미를 느꼈을 것 같다. 그리고 이런 작은 아이러니가 연속될 때 영화의 만족감은 올라갔을 것이다. 하지만, 결국 예고편이 스포일러처럼 되어 버렸다. 그만큼 스토리 자체는 <플란다스의 개>처럼 별 것 아닌데 예고편의 장면들이 그런 설정변화들을 노출시키며 소소한 재미를 앗아간다. 이 영화는 나에게 전혀 어렵지 않다. 사실 한국에서 직장생활 좀 해본 사람이면 미키의 정서는 직빵일 것이다. 미키가 “나 아직 먹을 만해”하고 소리칠 때 객석에서 웃음이 터져나오던데, 그거 우리가 면접 볼 때 맨날 하는 짓 아닌가? 일파가 왜 소스에 집착하는지는 전혀 궁금하지 않다. 부임 첫날에 기이한 취향으로 사무실 인테리어를 뒤집는 관리자를 얼마나 많이 봤던가? 지롤하는 직장상사 앞에서 미키18처럼 한 마디 던지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이것도 일종의 서구동경이겠지만 어쨌든 흥행에 성공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