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훈의 ‘밥벌이의 지겨움’을 보면 이런 글이 나온다. ‘밥벌이도 힘들지만, 벌어놓은 밥을 넘기기도 그에 못지않게 힘들다. 술이 덜 깬 아침에, 골은 깨어지고 속은 뒤집히는데, 다시 거리로 나아가기 위해 김 나는 밥을 마주하고 있으면 밥의 슬픔은 절정을 이룬다. 이것을 넘겨야 다시 이것을 벌 수가 있는데, 속이 쓰려서 이것을 넘길 수가 없다. 이것을 벌기 위하여 이것을 넘길 수가 없도록 몸을 부려야 한다면 나는 왜 이것을 이토록 필사적으로 벌어야 하는가. 그러니 이것을 어찌하면 좋은가. 대책이 없는 것이다.’ 지겨워도 밥벌이는 계속되어야 한다. 그래야 너무나 평범한 일상이 보장되니까. 하지만 일상이 무너지고 있다. 너무나 큰 범죄를 일으킨 자는 좋아하는 김치찌개에 소주 파티를 하는데 왜 아무 죄도 없는 사람이 단식투쟁을 하다 병원에 실려 가야 할까. 왜 사람들을 주말에 쉬지 못하게 광장으로 나오게 할까. 왜 법이 법 기술자들에 의해 좌지우지될까. 왜 일상을 누리는 이 작은 밥벌이까지 못 하게 할까. 수많은 ‘왜’가 괴롭히는 오늘 또 오늘의 연속.
혈압이 올랐다. 이런 일이 일어나다니. 석 달 동안 자다가 자주 깨고, 안 꾸던 꿈을 꾸고, 화가 나고, 온라인으로 긁우들과 싸우고, 오프라인으로는 그놈의 윤석열 좋아하는 모친과 싸우고, 주위에서 폐업이 늘어나고, 하루하루 지날수록 상식은 와작 깨지고, 정의는 먼지처럼 흩어지고, 일상은 점점 무너지고, 이러다가 양쪽으로 갈라진 사람들은 내전이라도 일어날 것만 같다. 지방이지만 16년도에는 박근혜 탄핵 집회를 매일 나갔는데 지금은 주말에도 일을 하느라 움직이지 못해서 더 화가 난다.
지금 내가 가장 부러운 사람은 이런 불안한 시국과는 무관하게 맛있는 음식과 행복한 사진을 올리는 사람들이다. 내 피드는 거의 백 프로에 가깝게 탄핵과 파면 피드만 올라온다. 그래서 나 몰라라 하는 피드는 알고리즘이 걸러내는 데 가끔 시국과는 무관한 피드가 올라오면 드는 생각이 부럽다는 것이다. 나는 그들에게 왜 동참하지 않냐며 욕하지 않는다. 나도 그들처럼, 계엄 전처럼 이런 시국과 상관없는 글을 올리고 싶다. 하지만 한 번 들여놓은 발을 뺄 수 없는 것처럼 마음이 돌아서지 않는다. 위고비 같은 약이 있어서 두정엽의 7구간을 건드려 싹 잊고 봄 타령이나 하고 싶다.
힘없는 정의는 무능이고 정의 없는 힘은 폭력이라고 영화 초혼에서 그랬다. 이 정부가 무능이고 폭력이다. 무능과 폭력의 인간들이 정부, 언론, 헌재, 극우로 똘똘 뭉쳐있고 그 꼭대기에는 가장 무능하고 가장 폭력적인 윤석열이 있다. 무슨 짓을 어떻게 할지 아직도 모른다. 아무도 모른다. 그 누구도 모른다. 역대 최악으로 산불이 크게 번지는데 컨트롤 타워는 없고 이재명 대표를 마치 대통령으로 알고 왜 이제 왔냐고 소리치는 주민들도 있었다. 우리들의 애순이 아이유는 그렇게 소리치는 주민들을 위해 2억을 기부했다. 슈퍼맨도 죽음에서 부활했다. 그리고 슈퍼맨 혼자서 세상을 구할 수 없어서 사람들의 도움을 받는다. 부활한 슈퍼맨은 힘없는 정의와 정의 없는 힘이 아닌, 보편적이고 상식적인 정의로 국민들과 함께 세상을 만들어 갈 것이다. 그렇게 되어야 한다. 이재명 대표는 날개를 달았다. 이제 우리와 함께 망가진 세상을 제대로 돌려놓아야 한다. 그게 슈퍼맨이 하는 일이니까.
어제 저녁에 조깅하러 나왔다가 비 소식이 없었는데 폭우가 쏟아졌다. 나는 비를 맞아 감기 걸려도 괜찮으니 이 폭우가 저 안동으로 몰려가라. 여기 언양에도 산불이 어마어마했는데 폭우 덕에 산불이 잡혔다. 나는 이 비가 이재명 덕분이라 믿고 싶다. 그가 그 수모를 겪으며, 욕 들어가며 안동으로 갔기에 이 비가 내렸다고 생각하고 싶다. 윤석열이 때문에 장사가 너무 안 되지만 안동 산불 지역에 후원까지 했는데 이재명한테 욕하는 모습 보며 후회를 잠시 하기도 했지만 아마 보수지역 그들도 이재명을 대통령이라 여겼나 보다. 지금 이 사태를 진정시킬 수 있는 건 헌재의 파면뿐인데, 판새들이 법복을 입고 정치를 하고 있다. 평의도 한두 시간 정도 할 뿐이고 이대로 끌다가 문형배와 이미선이 임기가 끝나고 저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될까 너무 짜증 나고 불안하다. 어제 잠시 이재명 무죄로 기뻤는데 오늘 다시 처음으로 돌아온 것 같다. 쉽지 않다고는 하지만 한 발 나아가면 두 발 뒤처지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