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명훈 작가의 소설을 읽는 것은 처음입니다.
작가에 대해서는 꽤 오래 전부터 다수의 과학소설을 집필하면서 뛰어난 문학적 성취를 거두며 한국 SF의 영역을 확장해나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SF 작가 중 한 분!이라는 정도의 사전지식만 알고 있었어요.
그런데 래빗홀에서 보내주신 출간 기념 무크지에 실린 저자소개란과 인터뷰를 보고 정말 다양한 이력의 소유자임을 확인하고는 놀랐습니다.
그 중 2020년부터 2년간 외교부의 연구 의뢰로 〈화성의 행성정치: 인류 정착 시기 화성 거버넌스 시스템의 형성에 관한 장기 우주 전략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이 단연 눈에 띄었는데요,
이는 이번 신간과 마찬가지로 그간 출간된 작가의 다른 소설들에서도 꾸준히 화성에 대해 다루었던 배경이 설명되는 지점이었습니다.
배명훈 작가의 《화성과 나》는 하나하나의 단편들이 유쾌하면서 화성 이주 시뮬레이션을 과학이나 공학의 관점이 아닌 인문학적 혹은 정치적인 관점으로 정교하게 구현해내었다는 점에서 제게 의미있는 독서 경험을 선사해 주었습니다.
또 작가의 말에서 과학이나 인문사회학 즉 학문차원이 아닌 소설만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서 서술된 부분은 소설 읽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다시금 소설 읽기의 중요성과 의미에 큰 힘을 실어주는 느낌이 강해서 숏폼영상에 압도되는 와중에 앞으로도 꾸준히 소설을 읽게 만드는 힘까지 부여받은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붉은 사막뿐인 텅 빈 화성에서 더 나은 제도와 윤리, 관계를 찾아가는 화성인에 대해서 경험하고 싶은 분들께 《화성과 나》를 추천드리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