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홍홍 서재
  • 여름의 귤을 좋아하세요
  • 이희영
  • 11,700원 (10%650)
  • 2023-09-22
  • : 12,570

떠나간 이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시작으로 따뜻한 기억의 순간을 다시 불러오는 프로젝트는

이제 문학작품에서 심심치 않게 찾아 볼 수 있는 소재가 된 듯하다.

또 지난 2020년, 7세 어린 나이에 하늘로 떠난 딸과 VR속에서 재회할 수 있게 된 과정을 담은 MBC 휴먼 다큐 〈너를 만났다〉에서처럼

누군가의 기억 속 가장 만나고 싶은 사람을 가상현실로 구현해내는 프로젝트가 현실에도 등장하며 큰 관심을 모았다.

《여름의 귤을 좋아하세요》를 읽으며 이 다큐멘터리가 가장 먼저 떠올랐는데,

가상현실 속 떠나간 이를 실제 모습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 주변인들의 인터뷰와 휴대전화 속 사진, 동영상에 저장된 다양한 얼굴과 표정, 특유의 몸짓, 목소리, 말투를 분석하여 얻은 데이터를 토대로 모델링을 했다는 점이 유사했기 때문이다.

소설에서는 떠나간 이의 모습을 메타버스라는 가상의 공간과 음성 복원 AI 기술을 빌려 실제 모습에 가깝게 구현하는 것에 성공한다.

반면 떠나간 이의 가족인 동생은 떠나간 형에 대한 흐릿한 자신의 기억과 형의 주변 친구, 부모님이 가진 형에 대한 기억들에 의존해

형의 실제 모습을 짐작하려 하지만 어쩐지 이 기억들이 맞닿을 듯 빗나가고 교묘하게 어긋나 실패한다.

객관적으로 보이는 사실을 기록하는 사진과 음성파일을 토대로 구현된 떠나간 형의 모습은 시각적으로는 완전하나,

떠나간 이에 대한 서로 다른 주관적인 기억을 토대로는 형의 어떠한 것도 짐작할 수 없어 보이는 불완전성이 대비되어 소설의 재미를 더한다.

누군가를 안다는 사실은

어쩌면 지독한 환상인지도 모른다.

p. 244

청소년기를 지난 지금까지도 유효한 말이 아닐 수 없다.

지금껏 수많은 타인들을 지나치기도 마주하기도 하면서

때로는 짧은 시간안에, 때로는 긴 시간을 통해 타인들에 대한 평가를 서슴없이 내리고

내가 내린 평가(오만함)​ 안에서 타인을 보게 되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었다.

내가 타인에게 내린 평가와 크게 다를 바없이 그들도 나를 각자의 나름대로 이해하고 평가하였을 것이다.

내 모습도 타인에게는 액자 속 사진과 마찬가지로 시간의 연속성을 가지지 못한 채 정지된 한 가지 장면으로만 기억되고,

액자라는 최초의 평가를 자유롭게 넘나들지 못했을 것이다.

그렇다고 내가 한 가지 면을 가진 사람일까.

이건 분명 아니라는 걸 모두 스스로 안다.

가정 내에서의 내 모습, 친구들 사이에서의 모습, 사랑하는 사람 앞에서의 모습은 저마다 다른 얼굴이기에.

다만, 이 당연하고도 간단한 사실을 우리는 쉽게 간과한다. (청소년기든 아니든.)

때문에 우리는 타인에게서 볼 수 있는 면모를 하나로 규정하게 되고 이로써 그 이외의 모습은 쉽게 상상할 수 없게 되므로

그 사람의 과거 행적을 두고 왜 그랬는지 끝내 밝혀내기가 어려운 것이다.

《여름의 귤을 좋아하세요》에서는 한 사람의 다방면을 이해하게 되고 그 자체로 존중하며 끝내 받아들이게 하는 과정이 담겨 있다.

그 과정 안에 풋풋한 사랑의 설렘 그리고 헤어짐과 같이 마음의 성장을 독자로서 함께 경험할 수 있다.

아무래도 학교를 배경으로 한 청소년 문학이다보니, 청소년들이 공감할 만한 장면들이 가득 담겨 있다.

청소년기를 지나온 이들에게는 그땐 그랬지 하는 추억에 젖어들게 하는 장면들이 말이다.

(교복 넥타이는 왜 꼭 지각을 예감하는 날에만 잘 안 보이는지……, 친구들 사이에서 소문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어떻게 퍼져가는지…… 와 같은.)

또 청소년기에 자주하는 생각들이 주인공들의 사유와 많이 닮아 있기 때문에

나에 대한 이해나 내면의 성장을 기대하는 청소년 독자에게 꼭 추천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