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문명이 생기면서 정신적 세계를 이룬 문화유산이자 산물이다. 참고로 저자는 기독교인이지만 최소한 종교적 색체 내 종교적 중심보다 타종교까지 중립 객관적으로 서평을 남기고자 한다.
세계종교는 기독교(카톨릭 정교회 포함) 유대교 이슬람 유일신 체제의 일신론 종교와 불교 흰두교 신토 등 많은 신화 여러 신을 모신 다신교 무당 및 에니미즘 토테니즘 자연물 영 숭상하는 쪽도 포함 종교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세계 분포 크고 영향력 큰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 불교 4 종교의 특히 권력과 돈을 탐하거나 서로 피를 볼 정도로 싸움까지 했던 종교와 권력의 속성 민낯을 알려준다.
유대교는 물질 돈 야훼 여호와께서 주신 축복 또한 경계로 삼는 지표로 본다. 모세가 시내산에서 받은 십계명 네 이웃의 것을 탐내지 말고 도둑질 하지 말라 이 계명이 재물에 관한 내용으로 자기가 번 것 소유 외에 타인의 것을 넘보지 말고 정직히 일하며 살라.는 의미 있다. 그런데 로마 식민지 이후 예수께서 탄생 후 신약성경에 예루살렘 성전 유대 돈과 로마 화페 교환하는 환전소 소 양 비둘기 제물 파는 상인이 제사장과 유대교 권력자와 결탁 폭리 취해 비싸게 팔고 돈의 노예 된 성전모습 예수는 채찍으로 제물 상점 환전소를 엎으면서 기도하는 성전을 강도의 소굴로 만들지 말라 이때부터 유대인 금융 및 재산의 시초로 이후 유럽이 기독교 국가가 되면서 유대인은 예수를 십자가 못 박은 민족으로 토지소유 금지 거주활동 제약부터 심할 경우 추방을 일삼을 정도 떠돌이 민족이 된 그들이 이로 인해 유일하게 환전 및 죄악시 불법인 고리대금 이자놀이 유대인 전용 직업 됨으로 높은 이자로 돈 때먹는 걸로 베네스의 상인에서 비판 유럽인들은 반유대주의 표방 돈벌래 족속으로 혐오대상 낙인과 동시 부러움의 대상 되어 나폴레옹 전쟁 남북전쟁 1차대전 이런 전쟁에서 유대인 부호 및 자산가의 채권 및 도움으로 크게 활약되어 십계명과 반대된 돈을 좋아함으로 세계에서 큰 영향력 미친 민족이 되었다.
기독교 저자가 믿는 종교로 특히 흑역사 가운데서도 십일조 교회세 면벌부 중세 권력다툼 오늘날 한국교회에서도 되풀이 되는 이 문제들 본래 예수 및 바울 신약성서에서 돈을 사랑함이 일만악의 뿌리라 부자가 낙타귀 바늘 들어가는 것 보다 하나님 나라 들어가기 어렵다 표현으로 지나치게 돈을 추구 욕심이 과한 것을 경계하도록 했지만 로마의 국교가 되고 유럽의 종교로 되면서 교회들은 재정확보를 위해서 교회세를 각 영주들에게 부과 의무적으로 바치게 하고 세수를 확보하기 위해 흑인들 노예로 판 무역과 십자군들 약탈 및 정당성 위해 면벌부를 판매 이것이 더 심해져 종교개혁의 시작점까지 될 정도로 중세는 교회 지도자들의 타락의 끝판이라 볼 수 있다.
이슬람은 무함마드 메카 동굴 계시를 받으며 세운 종교 많은 세력을 확보하고자 유대인 기독교인 그들에겐 이교도한테 이슬람으로 개종을 한다면 인두세 면제 한다는 조항으로 세력을 넓혔다 무함마드 죽은 후 이슬람은 분열되어 지방 토호 유력자들이 징세 청부인을 두어 가렴주구식으로 거둬 군 사령관 지방관이 상납 및 자기 맘대로 징수할 권리로 민심을 잃어 몽골군 쳐 들어올 때 호라즘 왕국 아바스 왕조 멸망하게 된 계기로 튀르크 오스만이 제국으로 확정 강력한 중앙집권으로 무함마드가 했던 인두세 면제 이교도에게 세금 부과하는 밀레트 제도로 제국을 유지했다.
불교는 왕자 시타르트가 출가 후 보리수 나무에서 깨달음을 얻어 인간의 욕심 번뇌에서 수행을 함으로 번뇌에서 벗어나 해탈의 경지 다다르는 것으로 비교적 돈에 깨끗할 것을 추구했으나 석가 사후 인도 아소카 왕이 국교로 삼으면서 이후 동아시아에서 전파 이 책에선 일본의 사례를 많이 담고 있다 저자가 일본인이니 당연 일본은 전국시대 에도막부 우리나라는 통일신라 및 고려 때 스님들의 권한이 막강해져 사찰이 많은 토지를 소유 또한 고리대금으로 이자놀이로 가렴주구로 빚을 받아내거나 시장에서 술과 누룩 불교에서 금하는 품목 비단 기름 등 판매독점권을 두고 싸우는 등 비교적 돈에 깨끗하다고 본 불교의 모습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
종교를 비난 넘어 쓸모없다 의미 없다라고 회의적으로 보이는 이 시대 오늘날 내가 담고 있는 기독교 젤 대표 그 담 불교 한국에서 돈문제 권력다툼 또한 타종교와의 마찰 코로나로 민폐를 주는 등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제대로 흑역사를 보여 줘 부끄럼 넘어 수치스럽고 종교계가 제대로 참회 및 돈과 권력을 탐하는 것이 아닌 예수 석가 가르친 약자 및 이웃 사랑과 선행을 베품 추구해 제대로 된 종교계가 되길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