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중국은 식량과 에너지라는 두 가지 약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대만을 무력으로 침공한다는 것이 결코 쉬운 선택이 아닙니다. 자칫 대만을 침공했다가 대만을 점령하지도 못하고 식량난과 에너지난으로 중국 경제만 악화된다면 중국의 지도 체제마저 흔들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은 중국 영토 내에서 석유 개발을 더욱 가속화하고 원전과 태양광,
수력, 풍력 등 대체 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전기차 보급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운송용과 산업용 에너지의 석유의존도가 줄어들면 남는 석유를 군사용으로 돌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국의 석유 개발이나 에너지 전환이 지금처럼 빠르게 진행된다면 대만 침공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데요.- P116
이처럼 미국의 방어에 대한 대만의 경제적 이익과 비용 분담을 강조해 온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만큼 앞으로 중국으로 인한 미국과 대만 간의 갈등이 커질 우려가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에 막대한 안보 비용을 요구할 경우 ‘하나의 중국‘을 강조해 온 대만 국민당이 미국에 대한 굴욕적 외교 대신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대만의 안보를 지키자고 주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대만의 국론이 분열될 경우,
중국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훈련을 빙자해 대만을 포위하고 군사적 위협까지 가하게 된다면 미국 싱크탱크가 우려한 대로 대만인들 사이에서 힘겹게 대만 독립을 지키느니 차라리 안전한 친중이 낫다는 여론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트럼프 2.0 시대에는 대만의 안보 불안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P122
이렇게 죽어 가던 미국의 조선업을 다시 한번 끝장낸 사건이 있었는데, 바로 중국의 WTO 가입입니다. 중국이 WTO에 가입한 이후 중국의 조선업은 급격하게 성장했고, 2000년대에 조금이나마 살아날 조짐이 보였던 미국의 조선업은 더 깊은 나락으로 추락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미국은 전 세계 선박 건조 능력에 비해 고작 0.1%밖에 만들 수 없는 나라로 전락해 버린 거죠. 이제 와서야 미중 패권 전쟁의 핵심이 해군전력이라는 것을 깨닫고 지금 당장 미국의 선박 건조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 P134
그런데 러시아 가스관이 차례로 끊기면서 유럽은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입을 포기하고 미국산 천연가스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다만 2024년까지는 미국의 LNG 터미널이 충분하지 않아서 미국에 남아도는 천연가스를 모두 수출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미국이 2022년부터 짓기 시작한 대규모 LNG 플랜트와 터미널이 2024년 말에 완공되기 때문에 미국은 유럽에 대한 LNG 수출을 비약적으로 늘려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볼 수 있게 됐습니다.- P148
특히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은 유럽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에너지에 의존하게 된 유럽에 나토 분담금이나 방위비 지출을 확대하라고 더욱 거세게 요구할 가능성이 큽니다. 사실 트럼프 대통령 1기 때는 유럽이 미국의 요구를 거의 무시하다시피 했습니다만, 이제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미국에 의존하게 된 데다가 러시아의 안보 위협이 훨씬 커진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무시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안보 비용까지 커지게 되면 그렇지 않아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큰 타격을 받은 유럽 국가들의 경제 상황은 더욱 악화될가능성이 높습니다.- P149
이스라엘이 장기전을 치르기 어려운 첫 번째 이유는 인구 문제입니다. 이스라엘은 주변 아랍 국가들보다 인구가 적고 자원이 제한적이어서 장기전을 지속하기가 어렵습니다. 이스라엘의 상비군은 18만 명 수준에 불과해 40만 명에 이르는 예비군을 교대로 전쟁터로 내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들 예비군이 이스라엘 경제 활동의 주축이기 때문에 오랜 기간 전쟁터로 나가 있으면 경제적 타격이 만만치 않습니다. 이스라엘의 인구가 990만명인데 군 복무를 거부하는 정통파 유대인 하레디와 군 복무를 시킬 수 없는 아랍계를 빼면 실제 군 복무를 할 수 있는 유대인 인구는 고작 690만 명에 불과합니다. 이 중에 상비군과 예비군을 합쳐 60만 명이 이번 전쟁에 동원된 셈인데, 인구가 5200만 명인 우리나라로 치면 거의 500만 명을 동원한 꼴입니다.- P156
지금은 990만 명 인구 중에 하레디 인구가 120만 명, 아랍계 인구가 18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30% 정도 되지만, 25년 뒤인 2050년에는 비중이 47%로 급증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스라엘 경제의 버팀목이자 병역 의무를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는 세속주의 유대인의 합계 출산율은 1.9 정도에 불과한 반면 아랍계의 경우 3.0 안팎이고 초정통파 유대인인 하레디는 6.5나 됩니다.
문제는 아랍계나 하레디의 경우 세속주의 유대인만큼 활발하게 경제 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아랍계는 여러가지 불리한 조건이 많아서 이스라엘 땅에서 유대인과 같은 수준의 경제 활동을 하기가 쉽지 않고, 하레디는 기존의 교육시스템을 거부하고 자신들만의 종교 교육을 고집하거나 심지어 모든 경제 활동을 거부하고 신앙 생활만 하겠다는 사람들까지 있기 때문에 소득이 거의 없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들은 이스라엘 정부가 제공하는 보조금으로 연명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 때문에 하레디와 아랍계의 합계 출산율이 지금처럼 높게 유지되어 인구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나게 되면 앞으로 이스라엘의 경제 성장률은 크게 둔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P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