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인간
#유현준 #을유문화사
작가님의 이력은 화려하다.
만약 우리 학교에 오신다면 어찌 소개를 할까~ 고민하다가 앞표지 날개단에 이력을 그대로 옮겨본다.
'건축'으로 세상을 조망하고 사유하는 인문 건축가...
건축으로 시작하는 소개야 너무 당연하고 거기에 보태 난 '알쓸신잡'이라는 방송 프로그램의 이력을 보탰을 듯한데 '인문 건축가'라는 단어가 눈에 띈다.
그가 생각하는 건축가의 정의? 특히 그를 소개하는 데 사용된 단어인 '인문 건축가'는 과연 어떤 의미인가? 보태본다.
'건축가는 사회의 복잡한 관계를 정리해 주는 사람이라고 말하는 그는 잘 어우러질 수 있는 화목한 건축으로 관계와 사회를 바꿔 나가고 있다....'
'잘 어우러질 수 있는 건축'을 추구하는 작가의 건축에 대한 통찰이 이 책에 있다는 기대감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그럼 건축과 잘 어우러지는 그것이 무엇인지 궁금한 채로 말이다.
위와 같이 시작한 책 읽기로 과연 난 답을 찾았는가? 건축과 잘 어우러지는 그것이 무엇인지...
내게 이번 '공간 인간'이란 책의 느낌을 이러했다.
시간, 역사
건축 전공자의 건축 이야기뿐 아니라 역사책을 읽은 이야기? 건축으로 역사를 말하는 것인지, 건축의 역사를 설명하는 것인지 굳이 따지지 않을 정도로 경계를 오가며 공간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건축물의 시간에 대해 큰 관심을 두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교통수단의 발전(말, 범선, 기차, 자동차, 비행기 그리고 보태어 철근콘크리트와 엘리베이터)과 도시..그리고 건축과 같은 사례가 그것이다. 시간거리 단축과 공간의 압축, 인터넷 가상공간이 인간의 뇌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었다는 것!
권력, 정치
지정학 교재를 읽은 느낌이 들기도 했다.
지리의 힘 1권과 2권의 느낌과는 사뭇 다르지만 지정학적인 측면에서 건축을 주도한 세력의 내부와 외부의 간섭은 이 책의 내용을 주도하고 있다. 총균쇠 느낌도 난다고 할 수 있다. 하나의 단서로 전체를 조망하는 안목이 생기는 과정이 특히 그렇다. 총_균_쇠처럼 건축으로 말이다.
고고학, 인류학
인류학, 고고학은 그저 소수의 그것에 매력을 느낀 학자들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하고 살아왔다.
문화의 수수께끼 이후로는 전해 듣거나 읽은 지식과 정보를 그대로 습득할 뿐 왜 그런지에 대한 지적인 호기심을 품고 나름의 해석을 시도한 적이 없다. 헌데 이번에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으로부터 시작되어 성경과 함께 시작되는 다양한 해석은 성경을 근거로 목사님이 설교하시는 그런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게 기존에 알고 있던 역사적 사실과 성경의 기록을 대조하며 새로운 호기심에 대한 답을 찾고 작가님의 글에 반론을 제기하기도.. 나름의 근거를 마련하기도 하는 나를 보게 되었다. 누군가의 시신이 갖고 있는 권력, 힘 등의 사례는 참 흥미로우며, 글vs조각상, 유목민vs정착민의 대결구도 사례에서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언약궤였으나 성전이 건축되는 과정 말이다.
알쓸신잡으로 알게 된 분이라서 그런가.
성경과 다양한 학자들의 책의 인용이 어색하지 않고, 건축만 이야기하는 건축학자의 글이 아닌 융합도 이런 융합이 없구나. 싶을 정도의 인문학적 건축학자로의 면모를 고스란히 드러내는 책이 아닌가 싶다.
김영하 작가님, 유시민 작가님 , 김상욱 박사님의 모습이 겹쳐 보이며 도대체 이 분들의 전공에 대한 깊이와 그 전공을 둘러싼 다른 영역으로의 확장 범위는 어디까지인 것인지... 놀랄 뿐이다.
다 읽고 첫 번째 드는 생각은...
2022 교육과정으로 새로 생긴 과목 중에 '도시의 미래 탐구' 과목을 가르치는데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는데 일단 한숨 돌린 듯하다.
이 책은 교사용 지도서, 부교재를 넘어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에게 또는 이를 수업 듣는 학생들에게 해당 과목의 이해를 돕는 첫 번째 친절한 도우미가 될 것이며, 건축과 도시, 그리고 도시를 넘어 세계와 인터넷 공간 속을 살아갈 우리에게 우리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이 어디를 가리키며 어디로 나아가야 할지를 조언해 주는 친절한 지침서가 되기에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행이다.
적절한 시기에 커다란 틀을 잡을 수 있게 도와준 적절한 책을 접할 수 있어서 참 다행이다.
#공간인간 #을유 #을유출판사 #책추천 #알쓸신잡 #도시의미래탐구 #지리 #건축 #도시 #인문 #인문건축 #책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