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나는 나
  • 네 번째 책상 서랍 속의 타자기와 회전목마에 관하여
  • 김운하
  • 13,050원 (10%720)
  • 2018-05-31
  • : 399

  책을 사랑한다는 사람이라면, 혹 누군가 책을 손에 들고 있는 사람이 곁에 있다면 나도 모르게 호감이 생겨 그가 무슨 책을 읽는 걸까 하면서 책 읽는 독자와 그 독자가 읽는 문장들에 대한 말 못할 호기심으로 두근 거리는 사람이라면...

 

추천한다. 이 책을.

 

책읽는 사람들이 느끼는 그 모든 종류의 감정들. 환희와 고독과 책을 덮은 후엔 마치 오르가슴이 끝나고 숨을 고르며 아직 지상의 세계로 내려가지 못해 허공에서 날개를 만지작 거리는 천사가 되어 있는 그 순간 때문에 읽어도 읽어도 늘어가는 책의 서재에서 서성거리는 영혼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위로와 우정을 넘어선 새로운 유토피아의 시민이 된 기분을 느낄 만한 그런 책이다.

 

책읽는 사람들이 느끼는 모든 것들을 나눌 뿐 아니라...작가의 독서량이라니! 책좀 읽었다 생각했던 나도 김운하 작가의 추천 도서들을 적어내려가다 포기했다. 아직도 내가 읽지 못한 아름다운 책들이 이리 많던가? 세상의 모든 책들을 읽을 순 없지만, 세상의 아름답다 소문난 책들은 다 읽고 죽고 싶은 나에게 작가는 선물을 남겨줬다. 수많은 책 목록들이 나온다. 책의 즐거움을 안다할 독자에게도 책중독에서 벗아나야 하나 하는 두려움에 사로잡힌 독자에게도.  어느 독자에게도 기쁨을 주는 책이다.

 

작가의 말대로. 책을 덮는 순간엔 독자는 침묵할 수 밖에 없다. 책애벌레에서 책나비가 되는 순간이기 떄문이다. 아니, 땅위의 사람에서 잠시 시공간을 무시하고 허공에서 비행하는 날개를 지닌 천사가 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책읽는 내내 짜릿했다. 명료한 문장과 읽기 쉽게 빠져들어가는 지성. 매력적인 책읽기책이다. 두고두고 소장할 만한 가치가 있다. 적어도 그가 안내한 책들의 황홀함들은 다 겪어봐야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으로.

 

 

보르헤스의 바벨의 도서관 이미지이다. "신은 중심은 모든 곳에 있으나 원주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지적 구체이다"라는 신학자 알랭드릴의 문장을 파스칼이 재 인용하여 "무시무시한 구체, 중심이 도처에 있으며 원주는 그 어느 곳에도 없는 그런 무시무시한 구체"라고 한 것을 도서관으로 비유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책 읽는 자들이 두려워하기도 할 책 지옥과 책 천국사이다. 사랑이 그렇듯 아름다운 것들은 천국과 지옥사이에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그러나 가장 아름다운 책들에 속하는 이야기가 새겨진 돌로 된 책, 돌로 굳어진 진흙판 위에 새겨진 이름없는 저자의 책, 고독, 침묵, 독서, 글쓰기, 나아가 사랑까지도, 시간과 무관하다. 그것은 나에게 속하지만 동시에 내게 속하지 않는 타자들을, 내가 결코 예측할 수 없는 운명의 고독 속에서 영원토록 기다리는 행위이며, 지금 내게 속하고 있거나 속하게 되리라 예상되는 모든 것들로부터 철저하게 거리를 두는, 차라리 영원한 거리두기라고 밖에 할 수 없는 어떤 ‘근원적인 단절‘과도 같은 것들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근원적인 단절이 바로 사유와 글쓰기의 기원이다.

독서의 끝에서 독자가 당도하는 곳도 그런 장소다. 독자는 책을 덮은 후 침묵에 빠진다. 침묵 속에서 그는 "나"가 아닌 타자로 변화되어 있다. 그는 자기 자신에게 낯선 자이여, 나아가 이전의 세계와 결별한 자, 마치 나비가 애벌레에서 변태를 통해 거듭 다시 태어나듯이 ‘책-애벌레‘에서 ‘책-나비‘같은 존재로 변신한 자이다
p282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