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녹림서옥

 손견이 죽으며 자신의 나이 어린 동생 손권이 오나라를 이끄는 문제에 대해 고민을 털어 놓자 이렇게 말한다.

 

"나라 안의 일은 정보에게 묻고, 나라 밖의 일은 주유에게 물어라."

 

오나라를 이끄는 손권의 근처도 가 보지 못 했으나, 다행히 나에게는 정보와 주유 같은 분들이 계시다.

 

"나라 안의 일은 강준만을 읽고, 나라 밖의 일은 박홍규를 읽어라." 

 

저 두 분이 내 인생에 끼친 영향은 어떻게 설명을 해도 부족하다.

 

지금 이렇게 노무사 공부를 위해서 고시원에 온 이유도 박홍규 교수님이 노동법 전공이기도 하시고, 그 영향으로 나 역시 노동법을 한번 제대로 배워 보자는 이유에서 였다.

 

박홍규 교수님의 책은 20대 초반 H신문사에서 알바를 하며 접했고, 그 후부터는 정말 책을 열심히 사서 읽었다.

그러다가 박홍규 교수님을 실제로 처음 뵌 것은 백수로서 집에서 놀다가 트럭 알바를 해서 번 돈으로 바로 저 책 '유토피아 이야기'를 산 때였다. 그 때 당시 출판사에서는 교수님과 로쟈님을 모시고 저 책을 주제로 한 대담을 진행했다.

 

행사 신청한 게 덜컥 되는 바람에, 곱게 널어 놓은 정장을 오랜만에 입고 명동으로 향했다.

 

아직도 기억나는 것은 가을비였나? 비가 오고 있었다. 우산을 쓰고 행사가 실시되는 건물로 찾아서 두근 거리는 마음을 가지고 가던 중, 지도는 그 건물을 가르키고 있었다.

 

그 건물 지하였는 데 1층이 밖에 테라스가 있는 커피숍이었다. 그 커피숍에 톨스토이처럼 멋지게 수염을 기르신 박홍규 교수님과 어떤 분이 즐겁게 웃으며 대화 중이셨다. 아! 너무 놀라서 우산으로 얼굴을 가리고 (대체 내가 얼굴을 왜 가리지?) 갑자기 아무 골목길로 급하게 걸어 들어갔다.

 

어찌됐든 행사 시작 후 들어가서 교수님과 로쟈님의 대담을 보며 '아! 개 멋있어'라고 혼자서 좋아하다가 마치고 교수님께 인사도 못 드리고 돌아섰다.

 

여러 사람에게 둘러 싸여 있는 교수님을 보며, 아직 어딘가에 자신의 자리도 찾지 못한 사람이 와서 너무 책을 감동적으로 읽었다고 하면 왠지 쓸쓸해 하실 것 같아서 말이다.

 

다시 일어서서 어딘가에 내 자리를 만든다면 그 때는 한번 꼭 뵙자고 결의를 하였다.

 

 이 책은 정말 내가 읽고 싶었던 톨스토이의 책 중의 책이다. 이 책이 나오기만을 얼마나 기다렸는 지 모른다.

 

결국 박홍규 교수님이 번역해 주셨고, 들뜬 마음에 100점 평을 남겼다. 그 후 이 책엔 누가 평을 남기다 하고 봤는 데 요정님이란 분이 평을 남기셨다.

 

같은 책을 좋다고 한 사람에게는 동지애가 생긴다고 할까? 이런 저런 이야기를 댓글로 나누며 난 느꼈다.

 

그래! 난 아직 진정한 덕후가 되지 못 했다고 말이다. 박홍규 교수님의 책은 70%정도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 글을 올린 것을 보아도 너무나 부족하다.

 

난 책을 많이 읽는 스타일도 아니고, 천천히 읽는 스타일이다. 반복 또 반복을 해야 비로소 조금 길이 보이는 스타일이다.

 

예전엔 루쉰 선생의 말처럼 한 팔을 휘두르면 사람들이 모이는 영웅과 같은 사람이라 생각했는 데 20대를 지나며 난 전혀 그런 사람이 아니란 걸 알았고, 전기모기채를 휘두르며 고시원에서 모기를 잡는 사람이란 걸 알았다.

 

겁쟁이의 분노는 들판의 잡초에나 불을 지필 것이라던 루쉰 선생의 말처럼, 그런 쓰잘데기 없는 사람만은 되지 말자고 생각했다.

 

독서 역시 그러하다. 정말 덕후가 되어보자! 공부도 덕후고, 독서도 덕후다.

 

난 박홍규 교수님의 덕후가 되어야 겠다. 하나의 길을 깊이 파보자. 근데 왜 '모비딕'을 사서 읽고 있는거지...

 

암튼 난 아무래도 덕후가 되어야 겠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