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현장에서 들려오는 생생한 목소리
해방의 순간,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민족의 치욕’이었던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끝나는 바로 그 순간.
역사에 비장하게 기록되어야 할 순간인 동시에, 당시의 사람들에게는 살아 온, 혹은 살아 갈 새털같이 많은 날 중의 하루였을 바로 그 날.
이 질문에 단 하나의 답을 내려 한다면 우리는 오류를 범하고 말지도 모른다.
수많은 삶의 총체로서 해방의 순간은 사람들에게 서로 다른 기억과 경험을 남겼을 것이다.
이러한 기억과 경험을 분절시키고, 새롭게 분류하고 해석해 내는 과정 속에서 미처 역사책에 기록되지 못한 삶의 모습을 발견해 낼 가능성을 획득하게 될 것이다.
이연식의 <조선을 떠나며>는 그러한 관찰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연식의 <조선을 떠나며>는 ‘해방’이 아니라 ‘패전’을 경험해야 했던, 재조선일본인들에 대한 기록이다. 저자는 재조선일본인의 귀환과정을 통하여 제국이 그동안 봉합하고 있었던 갈등들이 일거에 터져 나오는 양상을 보여준다. 재조선일본인들은 시야에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던 식민지 사회와 만나며 식민지가 안고 있던 모순을 경험하는 입장이 되었고, 본국에 가서는 ‘귀환자’라는 낙인이 찍힌 채 고립당해 사회의 밑바닥으로 밀려내려갔다. 제국이 그들에게 보장해 주었던 우월한 지위는 패전 후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책을 읽기 전에는 과연 재조선일본인들을 통하여 해방공간을 바라보는 것은 어떤 시사점을 주는 것일까라는 의문이 먼저 들었다. 저자는 귀환자들의 생생한 수기를 통하여 재조선일본인들의 경험과 감정을 독자가 바로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그들의 경험과 감정이 당시의 사회적 배경과 연결되어 있음을 짚어 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재조선일본인들의 귀환문제가 조선 사회 속에서 어떤 문제를 유발했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귀환자들의 수기가 전하는 패전 후 재조선일본인들의 모습은 비참하기 그지없다. 그들은 조선에서 일군 모든 경제적 기반을 하루아침에 잃고 기본적인 생존의 전망도 불투명한 상태에서 집단수용되거나, 목숨을 걸고 도망쳐 나와 밀항을 해야 했다. 여성들은 성폭력에 노출되어 하루하루 불안에 떨어야 했다. 그 와중에도 힘 있고 백 있는 자들은 먼저 살 길을 도모해 빠져 나가고, 고초를 겪는 것은 힘 없는 사람들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식민자가 아니었던가? 제국이 제공하는 안락함을 충분히 누리고 살았으니 그들은 이 사태의 책임을 질 의무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떠올리게 된다. 이렇게 책임 문제에 이르면 단순하게 답을 내릴 수 없게 된다.
저자는 이들이 식민자였음을, 이들이 겪었던 끔찍한 경험이 제국의 모순에서 기인한 것이었음을 있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단지 재조선일본인 귀환 문제를 역사적으로 바라봄으로써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구분을 넘어서는 역사인식의 단초를 얻기를 기대하고 있다.
저자의 말처럼, 당시 조선의 일본인들이 겪었던 문제에서 역사적 맥락을 배제하면 안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더 나아가 제국이 제공하는 혜택을 누렸는가, 아닌가 하는 판단이 그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인가? 개인은 시대에 얼마만큼의 책임을 져야 하는가? 그 책임은 식민자와 피식민자라는 민족의 경계를 따라 구분 지을 수 있는가?
꼬리를 물고 다양한 의문이 생긴다.
이 책의 매력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의 다양한 경험을 생생하게 들려준다는 것이다. 가까이는 일제시기 조선에 살던 일본인들은 언제, 어떻게 조선을 떠나갔을까 하는 간단한 호기심을, 좀 더 멀게는 그들의 귀환 과정에서 벌어지는 비인간적인 참상과 그 역사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수기에 등장하는 인물의 감정에 이입되었다가, 저자의 차분한 설명을 통하여 거리두기를 했다가를 반복하는 즐거운 독서 경험을 느낄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