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1
kth5627님의 서재
  •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
  • 김성우
  • 22,500원 (10%1,250)
  • 2024-08-04
  • : 10,778
_ 인공지능의 사회적 역할, 여파, 전망에 관한 논의는 하나의 중요한 의제로 자리 잡았다. 1~2년 전 ‘신기술’에 관한 ‘광풍’이 조장(?)되던 시기가 살짝 지나고, 조금은 거품이 걷힌 상황에서 여러 논의들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중에는 인문/사회 분야에서 이러한 의제들에 대해 비판적 견해 또는 일정한 거리 두기를 견지하며 차분하게 문제에 접근하는 도서들도 눈에 띈다. 이 책의 저자는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글을 쓰며 제도권 안팎에 모두 관심을 갖는 문화-기술-사회 학술 모임 ‘캣츠랩’에서 활동하는 응용언어학자다. 그 특유의 리터러시 관점인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광범위하게 다면적인 영향을 지혜롭게 받(지 않)을 수 있는 실천”의 맥락에서 지금의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고민한다. 저자의 분야인 언어 교육, 대학(원), 학술 장을 중심으로 논의를 풀어 나간다.
_ 이 책의 핵심 질문은 “여전히 깊이 읽고 정성 들여 쓰기가 의미와 가치를 갖는 시대, 우리는 인공지능과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가”이다. 저자는 이것이 “인공지능의 시대, 읽기와 쓰기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와 근본적으로 다른 질문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 속에 녹아 있는 인간, 사회, 생명에 대한 태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는 현 사회의 속도, 효율성, 양적 팽창, (패권적) 표준화, 표현-외화 영역의 비대화 등에 대한 주류 관점에 도전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태도를 다시 정립하는 것이 ‘리터러시’이고, 인공지능 기술의 ‘중재’(저자는 ‘활용’이라는 단어에 거부감을 표현한다)를 수용하는 올바른 과정이다.
_ 총 6개 장을 통해 내용을 전개한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사회기술적 관점과 리터러시, 인간과 인공지능 읽기-쓰기의 특성과 차이: 시간·학습·쓰기·언어·발달·관계·대화 이해, 리터러시 생태계의 변화: 매개·전도·속도·저자성-윤리,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한 올바른 관점, 기술과 인간의 관계, 결론으로서의 비판적-메타 리터러시.
_ 생성형 인공지능이 출현한 지금 ‘읽기-쓰기’ 그리고 리터러시의 본질은 과정성, 윤리성, 관계성을 ‘체화’하는 과정으로서의 읽기와 쓰기는 그 스스로의 ‘에토스’이고 세계관일 수밖에 없으며, 이는 정성 들여 불완전한 과정들을 끊임없이 경험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내용이 강조된다. 읽으면서 지금의 주류적 분위기, 생성형 인공지능의 한계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겠다고 생각했다. 거기에 기반을 둘 때 새로운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 과정이 없다면 “생성becoming 없는 생성generating”이 노폐물처럼 쌓인다. ‘존재로서의 생성’은 ‘읽은 것-쓴 것’과 ‘읽지 않은 것-쓰지 않은 것’의 교차로에 있다.
_ 각각의 주제들에 대해서 아주 탄탄하게 차근차근, ‘(대학) 수업을 하듯’ 내용을 풀어 가며, 생성형 인공지능과 함께 ‘보고서’ 쓰기 실험 등 예시가 다양하다. 저자의 태도는 매우 정중하고, 어투도 그러하다(독자에게 높임말을 썼다). 그러다 보니 상당히 방대한 분량의 책이 나오게 된 듯싶다. 저자의 비판적 관점은 은근하게 확고하다.
_ 세상의 오롯한 모습은 말과 글로만 표현될 수 없기에 총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해야 비로소 언어(와 인공지능 그리고 인간)는 가장 훌륭해진다는 저자의 언어학적 ‘비판적 메타-리터러시’론에 큰 매력을 느꼈다. 평소에 가졌던 문제의식과 궁금증에 꽤 도움이 되는 이야기들이 많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