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나 춤 같은 건・・・ 보고 들으면 외울 수 있어..."
"어? 한 번 보면 외워?"
"응."
"바로 출 수도 있어?"
강유리는 기이한 물건을 보는 시선으로 나를 한번 훑어보더니 갑자기뚜르 앙 레르 동작을 선보였다. 남자 무용수들이 공중으로 솟구쳐서 두번 이상 회전한 다음 착지하는 화려한 동작이다.
"이런 건?"
강유리는 장난스럽게 웃었다. 어려운 기술인 데다가 남자 무용수 동작이라 배운 적이 없었다. 일단 눈을 감았다. 방금 본 동작을 떠올리고 느리게 재생시킨다. 발끝부터 다리, 허리, 가슴, 어깨, 목, 팔, 머리를 주르륵훑고 두어 번 반복해서 생각한다. 눈을 뜨고 강유리가 섰던 자리에 섰다. 떠오르는 영상 위에 나를 덧입힌다. 완전히 똑같이 하지는 못해도 동작의 포인트를 다시 재생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원장 선생님이 애물단지인 나에게 미련을 못 버리는 이유 중 하나가 이 능력 때문이지 않은가.
그 애가 한 뚜르 앙 레르를 어설프게 따라 하자 강유리는 박수를 치면서경쾌하게 말했다.
유성
"전공생들은 너 싫어하겠다."- P62
"발레를 배우는 학생이 러시아 무용수 발레리 란트라토프에게 질문을 하나 했다. 무용을 잘하려면 팔과 다리 중 무엇이 더 중요하냐는 질문이었는데, 그 사람은 이렇게 대답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머리와 귀지. 무용은 정신 활동이야. 뇌는 귀가 음악을 듣도록 신호를 보내고, 팔과 다리는 이에 맞춰 움직여. 물론, 눈도 매우 중요하지."
갑자기 이런 이야기를 왜 하는 건지 알 수 없었다. 강유리는 차분하게 말을 이었다.
"너는 그 중요한 머리와 귀를 가졌어. 보고 듣는 대로 외워 버리니까.
그런데도 무대에 못 선다는 게 참 희한하다. 왜 무대에 못 서는 거야?"- P63
나는 그 뺨으로 다시 손을 뻗고 싶었다. 뜨끈한 열기가 닿으면 조금쯤 강유리의 ‘이상함‘을 들여다볼 수 있을 것만 같은 마음이, 꿈인데도 선명하게 들었다. 꿈이 전지적 작가 시점이 아니라 1인칭 시점이나 3인칭 시점이었다면 분명히 또 그 애의 뺨을 만졌을 것이다. 몸이 없기에 만질 수 없었고, 그저 지켜보는 것만 허락되었다.- P81
나는 머릿속에서 물방울처럼 떨어지기 시작하는 기억들을 필사적으로떨쳐냈다. 어느 순간에는 다정했다가 또 어느 순간에는 냉정하게 밀치고내리누르고 잡아당겼던 손길들을 떨쳐 냈다. 얼마간 시간이 흐르자 가슴이 조여드는 증상이 잠잠해졌다. 마지막으로 긴 한숨을 천천히 내쉬고, 다시 허리를 세웠다. 강유리가 진심으로 걱정이 된다는 눈빛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P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