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미스트랄님의 시름 잊은 책 나들이
 전출처 : 작가와의만남님의 "설미현 저자와의 온라인 만남"
전 요즘 이상적인 상태와 현실 간의 괴리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고 있어요. 어떤 화두는 2-3년 이상 끌기도 하는데, '이상과 현실의 간극'에 대한 화두도 그렇게 오래 생각해 왔습니다. 그만큼 쉽게 풀리지 않아서겠죠. 사실 인류 역사를 두고 사람들이 고민해 온 문제를 제가 단박에 풀어낼 수 있을 리도 없구요. ^^ 6년이나 한 사람을 바라보면서 그 사람에게 모든 마음을 줘 오셨다니 대단하세요. 사람을 소중히 여기는 법, 자기 마음을 조건 없이 주는 법, 좋아하는 것에 열정을 바치는 법을 아는 멋진 분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1> 어느 정도 작은 집착은 애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과감하게 애교 부리세요. ㅎㅎㅎ (다만 문제라면 상대가 그 집착을 크게 느낀다면 더 줄여야겠죠? ^^ 상대에게 많이 물어보세요. 나의 이런 감정이 너를 힘들게 하지 않는가. 대화를 많이 나눠 보시길 권합니다. 직선적으로 묻기가 힘들면 돌려서 물어보는 방법도 있구요.) 2> 전 크게 집착하지 않고 관계에서 많이 담담한 편입니다만, 연애에 빠지면 매일 만나고 찰싹 붙어 다니는 것은 거의 기본이었어요. ^^ 물론 상대도 비슷한 성향의 사람이었기 때문에 관계에 있어서 두 사람 모두 불편함을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 같아요. 만일 두 사람의 성향이 다르다면 한 사람은 불편할 수도 있을 거에요. 두 분은 서로 조금 다른 타입이신 건가요? 3> 마음이 완전히 다 고쳐지고 결혼할 필요는 없어요. 오히려 결혼하면서부터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게 되는 거거든요. 연애할 때와 비교해서 정말로 더 함께 있는 시간이 길어질 테니 말이죠. (밤에 내내 같이 있게 되니 얼마나 시간이 늘어납니까 ^^) 결혼하면 새롭게 나를 바꾸어 나가야 할 일이 많은 것 같아요. 한 사람과 평생을 가기 위해서 지금과 똑같아선 어려울 테니까요. (완벽한 남편이 없듯이 완벽한 아내도 없어요. 내가 완벽한 아내가 아니라고 해서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상대가 완벽하지 않다는 것도 인정하는 거죠. 저도 결혼 초기 1년에 이걸 잘 못해서 많이 다퉜어요. 제가 이 완벽함에 대한 집착을 놓으니까 두 사람 관계가 더 편해지더군요.) 관계에 대해 깊이 고민하시는 모습이 좋아 보입니다. 이렇게 끊임없이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해 탐구하고 개선하려드는 한 계속 행복하실 수 있을 거라고 믿어요. 저와의 이야기가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면서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