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s 출판사로부터 서적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서평을 작성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서평
1.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가 들려주는 창의력을 깨우는 7가지 방법은 무엇일까. AI의 발달로 미래가 달라질 것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저자는 AI와의 경쟁이 아닌 활용을 강조한다. 그러기 위해 창의력을 강조한다. 급변하는 세상 속에 주입식, 모방식 교육을 받은 우리가 어떻게 창의적 인재로 어웨이킹할 지를 기대해본다.
2.
창의력은 믿음과 자신감으로 나온다(21). 저자는 열린 문제를 통해 창의력을 키우는 수업을 진행(창조형 수업이라 표현)한다. 현실의 사례로 주류 회사 대표의 이야기, 고속도로 입출구 색깔 등이 있는데, 저자는 10주면 충분하다고 이야기한다. 이번 책을 통해 도전해볼 일이다. 창의력은 믿어야 도약할 수 있다.
3.
잠든 창의력을 깨우는 방법의 질문으로 비현실적인 상상하기로 오늘 새로운 것은 어제까지 비현실적이였기 때문이다. 논리적으로 상상하기에서는 말이 되는 상상을 바꾸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다르게 생각하기는 나만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야 한다. 끊임없이 의문 던지기에서는 생각의 횟수를 늘리는 것을 강조한다. 파격적인 상상하기는 실용주의적 진리관을 택한다는 저자의 평가방식, 내 생각을 밀고 나갈 용기 키우기는 비판을 두려워 말고 자신의 생각을 나가는 태도다. 끝으로 실패하며 계속 연습하기에서는실패하더라도 아이디어 갯수를 늘리는 것을 강조한다.
4.
창의력과 함께 저자의 전공 분야인 경제학을 마지막 장에서 질문한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나라의 경제가 어떤 상황이며, 어디로 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핵심적인 지식을 알려준다. 개인적으론 가장 도움된 부분이었다. 경제를 공부하기 위해 많은 책을 찾고 했지만, 딱 간추린 내용은 드물기 때문에 아주 얇은 이 부분을 통해 조금이나마 정리가 된 기분이었다.
5.
수업 때 활용한 열린 질문이 7가지 질문과 함께 담겨 있다. 비교적 쉽게 읽히긴 하나, 질문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면서 읽고자 한다면 시간이 걸릴 것이다. 10주라는 시간을 가지길 권유하였으니 한 주에 한 과제를 해결하면서 공부하듯 한다면 충분한 도움이 되리라 기대가 된다. 나 역시 10주간의 프로젝트를 해보고자 한다.
★생각나는 구절
생각하는 방법만 터득하면 짧은 시간에도 얼마든지 내재된 창의력을 끄집어 낼 수 있다. 창의성이 아닌 창의력이라는 표현을 쓰는 이유다(27).
박사가 되려면 논문을 써야 되는데 논문의 핵심은 기존의 지식을 토대로 얼마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느냐이기 때문이다(32).
★질문 한 가지
★추천해주고 싶은 분
★독서 기간
2025. 1. 16. ~ 1. 17.
★함께 읽으면 좋을 책
#장자
#김세직 의 #모방과창조
#김영채 의 #창의력
★추천도(지극히 주관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