캉스푸가 들려주는 한중일 세 나라의 교류 이야기
#1 세 나라의 특별한 관계
두 나라의 대통령이 만나 정상 회담을 하는 모습을 텔레비전에서 본 적이 있을 거야.
하지만 옛날에는 한 나라의 왕이 다른 나라의 왕을 직접 만나러 갈 수 없었어.
왔다 갔다 하려면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렸을 테니까.
그래서 왕이 직접 가지 않고 사신을 대신 보냈단다.
중국 황제에게서 관직을 받은 백제 무령왕

중국 옛 그림 속에 있는 백제 사신이야. 얼굴에 수염이 없는 걸 보니 20대나 아무리 많아도
30대 정도 되는 젊은이 같아. 소매 속에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예의 바르게 서 있어.
이 사람은 한반도에서 중국으로 간 사신이야. 정확히 말하면 중국의 양나라에 간 백제 사신이지. 그림 속의 기록을 보니, 백제의 무령왕이 양나라 황제 무제에게 보낸 사람이구나. 백제 사신은 무령왕에게서 어떤 임무를 받고 양나라에 갔을까?
백제 사신은 양 무제를 만나서 가장 먼저 백제에서 가져온 선물을 바쳤을 거야. 그런데 이 선물은 그냥 예의를 차리려고 주는 것이 아니었어. 이런 선물을 ‘조공’이라고 하는데, 양 무제를 찾아간 백제 사신의 조공에는 이런 의미가 숨어 있었어.
“저희 백제왕께서는 황제 폐하의 나라를 받들고자 합니다. 그러니 신하로 삼아 주십시오.”
조공을 받은 양 무제는 무령왕에게 보내는 글을 써서 백제 사신에게 주었어. 그 글 속에는 무령왕을 자신의 신하로 삼는다는 내용과 함께 무령왕의 관직 이름이 적혀 있었지. 조공을 받은 나라가 조공을 바친 나라, 즉 조공국의 왕에게 관직을 내려 주는 걸 ‘책봉’이라고 해.
이때 양 무제는 백제 무령왕에게 어떤 관직을 책봉했을까? 그 관직 이름은 바로 ‘영동대장군寧東大將軍’이었어. ‘영동’은 ‘동쪽을 다스린다’는 뜻이야. 그러니까 동쪽을 다스리는 대장군이라는 뜻이 되는 거지. 중국 대륙에서 볼 때 동쪽에 있는 나라들을 가리키는 거야.
“한반도와 일본 열도에 있는 여러 나라 왕 중에서 내가 최고다!”
이 관직이 얼마나 자랑스러웠는지, 무령왕은 자기 무덤의 비석에 이름을 새길 때 ‘영동대장군 무령왕’이라는 글을 새겨 넣었단다.
중국 중심의 외교 관계, ‘조공 책봉 관계’
옛날, 한중일의 세 나라는 백제와 양나라처럼 외교 관계를 맺었어. 백제 무령왕과 양 무제처럼 한쪽이 조공을 바치면 다른 한쪽은 책봉을 해 주는 방식이었지. 이런 걸 ‘조공 책봉 관계’라고 해.
중국과 한반도, 일본 열도 사이에 조공 책봉 관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건 한나라 무제 때부터야. 한나라는 중국 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한 강대국이었어. 엄청나게 넓은 영토를 자랑했지. 하지만 영토가 넓은 만큼 수많은 다른 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었어.
한 무제는 사방으로 전쟁을 일으켜서 이웃 나라를 정복했지만, 정복한 지역을 직접 다스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어. 관리와 군대를 일일이 파견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나라 살림이 많이 필요했지. 정복당한 나라가 반란이라도 일으켜 봐. 더 많은 백성을 군대에 동원해야 했겠지? 그래서 한 무제는 직접 다스리기 어려운 나라들과는 조공 책봉 관계를 맺는 것에 만족했단다. 한나라 이후 중국에 등장하는 나라들도 이와 비슷한 외교 방식을 택했어.
그럼, 중국과 조공 책봉 관계를 맺은 나라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자존심이 많이 상하지 않았을까?
대부분의 나라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어.
중국과 조공 책봉 관계를 맺으면 가장 힘이 센 나라인 중국의 침략을 받을 위험이 없어서 자기 나라를 편히 다스릴 수 있어. 또 중국으로부터 책봉을 받으면 백성들을 다스릴 때, “나는 강대국의 인정을 받은 왕이다!” 하고 선전할 수 있었지. 무령왕이 ‘영동대장군’이라는 관직을 받고 좋아했던 것도 그 때문이야. 게다가 중국의 선진 제도와 문물을 배우고 들여오기가 좋았단다.
넘버투는 누구?
그럼 중국에 이어 2등은 어느 나라였을까? 한반도의 고구려, 백제, 신라였을까?
아니면 일본 열도에 등장한 나라들이 2등이었을까? 중국이 누가 2등이라고 정해 주었을까?
백제 무령왕은 ‘영동대장군’이라는 관직을 책봉 받았으니 백제가 2등이었을까?
*
양나라 : 502년부터 557년 동안 세워졌던 중국 남북조 시대의 나라
한나라 : 진나라 다음으로 기원전 206년부터 기원후 220년까지 중국을 통일한 나라
이 연재물은 책과함께어린이에서 출간될 어린이책의 내용 일부분을 미리 보여 드리고자 시작되었습니다. 연재 정보와 필자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연재를 시작하며'를 봐주세요.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원하시는 분은 곤란합니다.
★깜짝 퀴즈★
중국의 한나라 이후 등장한 나라들이 주로 택했던 방법으로, 한 나라가 정복한 나라 가운데 직접 다스리기 어려운 나라에 관리와 군대를 일일이 파견하는 대신 취했던 외교 방식을 무엇이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