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라는 전쟁에서 한 기업이나 개인은 작은 전투에서 패배할 수 있습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더욱 큰 ‘부‘라는 전쟁에서는 이길 수 있어야 하는 것이죠. 그 사실을 확실히 믿고 흔들리지 않으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부자들은 논리적, 과학적으로 설명할 순 없지만 원하는 것을 무의식 속에 잠식한 뒤 이룬 것처럼 믿고, 지속적으로 잠재의식에 프로그래밍하여 부를 이루어 갑니다. 점점 복잡해지는 시대에 변동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부자로 산다는것은 어쩌면 이렇게 불안하고 자기 통제권을 상실하게 만드는외부 환경의 변동성 속에서 자기만의 확신을 가지고 사는 것입니다.- P171
‘Money land‘ 입장권, 변동성
우리는 기본적으로 불확실한 상태를 상당히 견디기 힘들어합니다. 무언가 확실한 것을 추구해야 하고 그래야 안정적인 인생을 영위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러니 나의 미래는 확실해야 한다는 강박마저 느낍니다. 특히 우리 사회는 서구사회보다 이런 경향이 더 큽니다. 우리는 청소년기부터 정답을 찾는 것을 배우면서 성장해 왔죠. 그래서 많은 아이들이 모호한 상황이나 정답이- P171
없는 서술형의 문제를 다루는 것을 힘들어합니다. 성인이 되면 이런 경향은 더욱 강화됩니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것처럼 부의 세계는 불확실성 속에서 자신만의 확신을 가지는 사람이 승리하는 세계입니다.
길트 홉스테드라는 문화 연구가는 전 세계 국가들의 다양한 문화를 네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비교 연구했습니다. 이를 ‘문화차원 이론Cultural dimensions theory‘이라고 부르는데 그중에서 한 사회의 구성원들이 얼마나 불확실성을 감당하는가에 따라 사회의 안정성과 개인들의 행복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에 따르면 일본, 한국과 같은 동양권 사회는 ‘불확실성의 회피Uncertainty Avoidance Indes‘를 대표적인 문화적 특성으로 봅니다. 불확실성 회피지수가 높은 국가에 사는 사람들은 불확실한 대상에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비교적 엄격한 행동규칙을 세웁니다. 그리고 특이한 것을 두려워하고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범주에서 벗어난 생각이나 행동을 위험하다고 여깁니다. 반대로 불확실성이 낮은 국가의 사람들은 완고한 제도나 법률을 싫어하고 융통성이 있고 기업가 정신이 풍부합니다.
안타깝게도 부는 불확실성을 싫어하거나 피하지 않고 이 속성을 이해하고 용기 있게 행동하는 사람에게 흐릅니다. 실제 큰 부를 이룬 사람들의 사례나 이야기를 들어봐도 불확실성을 보통- P172
사람과는 다르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불확실성을 수용하는 사람은 전쟁이 터져도, 금융위기가 발생해도, 전염병이 창궐해도 큰 변화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합니다. 오히려 기꺼이 이런 변동성을 감지하고 미리 준비해서 기회로 삼습니다. 경제사를 살펴보면 역설적이게도 이런 위기상황에 초월적인 부자들이 탄생했습니다. IMF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등에서 많은 사람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 시기에 큰부자들이 상당수 등장한 것이 사실입니다.
사업을 하는 것, 기업에 투자하는 것,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은 어느 정도 불확실성을 수반합니다. 물론 안정성의 차이는 있겠지만 부를 일군 사람들은 불확실성을 ‘부‘를 이루어 가기 위해 반드시 수반하는 요소로 생각하죠. 그래서 《돈의 심리학》의 저자 모건 하우절은 ‘변동성‘은 어쩌면 부의 세계에 입장하는 일종의 참가비용 같은 것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부‘의 대가들은 오히려 이 변동성을 이용해 더 큰 부를 이루기 때문이죠.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즐기고 이용합니다. 그래서 어쩌면 ‘잃지 않는 것‘, ‘변동성이 적은 것‘은 ‘부‘의 속성에서는 모순되는 표현일 수 있습니다.- P173
이런 불확실성을 수용하는 삶의 태도는 ‘진인사대천명‘의 지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예측불가한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평온함과 행복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결과보단 과정, 그리고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는 태도가 불안함을 제거하고 편안함을 느끼게 해주는 자세입니다. 결과는 내 몫이 아니기 때문에 전전긍긍해 봐야 소용이 없습니다. 그러니 당장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는 태도가 더 큰결과를 가져다주기도 합니다.
이런 삶의 태도를 통해 우리는 외부 상황을 내부적으로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외부의 수많은 소음이 나를 혼란스럽게 하더라도 내면의 충만함으로 이겨낼 수 있는 겁니다. 따라서 변동성 혹은 그로 인해 찾아오는 운이 나쁜 상황이나 역경들을 새로운 프레임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P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