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겉보기에는 정상적일지 몰라도 이 가정들은 사실상 제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연구 대상 중 절반은 직계가족 중에 정신질환자가 있었고, 부모가 범죄행위에 연루된 적이 있는 경우도 절반이 넘었다. 가족 중에 술이나 약물을 남용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는 거의 70퍼센트에 달했다. 게다가 모두 어린 시절에 심각한 정서적 학대를 당한 경험이 있었다. 성인이 되어서는 이들 모두가 정신과 전문의들이
‘성불능자‘라고 부르는 다른 성인과 서로 교감하며 성숙한 관계를유지할 수 없는 사람들이 되었다.- P139
정신적으로 상처를 받은 아이들은 사춘기에 접어들면 바람직한 성관계와 감정교류에 필수적인 교제술을 제대로 익히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러나 잠재적 살인범이 외톨이라고 해도 모두가 내성적이며 수줍어하는 것은 아니다. 개중에는 내성적인 사람도 물론 있지만, 다른 남자들과 잘 어울리며 달변가인 사람도 있다.
후자의 외향적 성향은 내면적인 고립감을 감추는 수단이다.
정상적인 청소년이 춤을 추고, 파티에 가고, 이성과 키스하는 장난을 칠 시기에, 외톨이는 자기 속으로 파고들어 비정상적인 환상을키운다. 환상이 다른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만남을 대신하는 것이기는 해도, 환상에 의존하게 될수록 소년은 바람직한 사회적 가치와는담을 쌓게 된다.- P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