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의지’, 권리와 책임의 다른 이름
우리에게 ‘피노키오’로 기억되는 <피노키오의 모험, 꼭두각시 이야기(이하 ‘피노키오의 모험’>는 흔히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아야 한다는 교훈을 주는 우화로 알려져 있다. 물론 나도 어렸을 때는 그렇게 생각했다. 그런데 성인이 되어 읽은 <피노키오의 모험>은 어린 시절과 다르게 다가왔다.
꼭두각시!
다들 알고 있다시피 ‘끈’과 ‘조종자’가 없이는 움직일 수 없는 존재다. 어쩌면 이것이 꼭두각시로 만들어진 존재의 숙명일 것이다. 그런데 피노키오는 다른 꼭두각시 인형과 달리 기적적으로 스스로 말할 줄 알고, 움직일 줄 알고, 판단하고 행동할 줄 아는 존재로 태어났다. 아니, 꼭두각시 인형으로 만들어지기 전, 늙은 목수 안토니오 혹은 버찌 할아버지에게 나무토막 상태로 발견되었을 때부터. 그래서 피노키오는 마치 인간처럼 ‘자유의지’가 부여된 인형이 되었다.
그래서일까? 태초에 자유의지가 부여된 아담과 이브가 신이 정한 길을 벗어나 뱀의 유혹에 빠진 것처럼 피노키오도 다양한 유혹에 넘어간다. 물론 자유의지로 진흙탕에 뛰어들었으니 그 대가도 아담과 이브처럼 당연히 치러야 했다.
이 책, <피노키오의 모험>은 36개의 에피소드로 그 과정을 담았다. 널리 알려진 대로 이 작품은 피노키오라는 주인공이 수많은 고난과 시련을 견뎌내고 인간이 되는 해피 엔딩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렇기에 이 작품에서 존 버니언(John Bunyan, 1628~1688)의 <천로역정(天路歷程; The Pilgrim’s Progress)> 1부를 떠올릴 수도 있다.
당대 이탈리아 사회에 대한 풍자에서 어린이를 위한 동화로
우리가 단순히 동화로 인식하는 <피노키오의 모험>은 원래 지금의 절반도 안 되는, 15번째 에피소드로 끝날 예정
이었다고 한다.
15번째 에피소드 마지막은
피노키오는 눈을 감고, 입을 벌리고, 두 다리를 쭉 뻗었어요. 그리고는 한 번 크게 버둥거리더니 굳어 버린 듯 꼼짝하지 않았답니다. [pp. 99~100]
로 끝나는데, 누가 봐도 이것은 피노키오의 죽음을 암시하고 있다. 이런 결말이 나오게 된 것은 <피노키오의 모험>이 저자인 카를로 콜로디(Carlo Collodi, 1826~1890)가 살던,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사회를 향한 풍자와 상징으로 가득 찬 작품이기 때문이다. 주인공인 피노키오부터 ‘이탈리아인’하면 떠올리는 일하기 싫어하고 놀기 좋아하는 이미지를 구현한 것이라고 한다. 어쩌면, 피노키오는 아직 ‘이탈리아인’이라는 소속감이 갖춰지지 않은, 갓 생겨난 이탈리아 왕국(Regno d'Italia, 1861~1946)을 상징하고 있다고 해도 크게 어긋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내가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하면 안 되는 지에 대해 잘 모르거나 알더라도 새롭게 열강이 되었다는 ‘뽕’에 취해 자제할 줄 모르는 이탈리아 사회와 피노키오가 크게 달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피노키오는 판사 앞에서 자신이 당한 몹쓸 사기 사건에 관해 자세히 설명했어요. 도둑들의 이름과 생김새를 말하고 나서 마지막으로 법의 심판을 요청했어요.
판사는 아주 친절하게 피노키오의 말에 귀를 기울여 주었어요. 피노키오의 이야기에 큰 관심을 보였고, 피노키오를 가엽게 생각하고 동정을 표했지요. 피노키오가 설명을 다 끝내자 판사는 손을 뻗어 벨을 눌렀어요.
벨 소리에 곧 병정 옷을 입은 불독 두 마리가 나타났어요.
“저 불쌍한 악마는 금화 네 닢을 도둑맞았다. 그러니 저자를 잡아서 즉시 감옥에 가두어라.” [pp. 130~131]
에서는 판사가 사기와 강도 행위를 눈감아 주고 무고한 사람을 감옥에 가둔다. 이 에피소드가 사법의 집행자인 판사가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하지 않고 일단 처벌함으로써 사태를 해결하는 것을 풍자하는 것인지, 아니면 무고한 사람을 감옥에 가두는 사법의 부정을 상징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어느 쪽이든 저자가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사회가 어린이들이 평온, 무사하게 자라나기 힘든, 험난한 사회라고 환경으로 보았음을 알 수 있다.
바보 잡기 도시를 다스리는 젊은 황제가 적을 물리치고 승리를 거두자 큰 잔치를 베풀었던 거예요. 조명을 환히 밝히고, 폭죽을 터트리고, 경마와 커다란 앞바퀴가 달린 자전거 경주 대회를 열었어요. 그리고 황제는 승리를 축하하는 뜻에서 감옥 문을 열고 도둑들을 모두 풀어주라고 명령했어요.
~ 중략 ~
피노키오가 말했어요.
“죄송하지만 저도 도둑이에요.”
“그렇다면 충분히 자격이 되지.”
교도관은 정중하게 모자를 들어 올리며 피노키오에게 작별 인사를 했어요. 그리고는 감옥 문을 열어 피노키오를 내보내 주었답니다. [pp. 132~133]
에서 보이는 모습은 1861년 이탈리아 왕국이 설립된 이후의 남부 이탈리아 사회를 풍자하는 듯하다. 이탈리아의 통일은 프랑스에 뿌리를 둔, 북부의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가 주도했다. 그리고 그들은 통일운동의 지지자인 지주층을 의식, 농민들이 원한 토지개혁 등 사회 구조 개혁은 외면하면서도 통일 자금 확보를 위해 곡물세 등을 부과했다고 한다. 이에 반발하여 남부에서는 ‘도적떼’라는 뜻을 가진 ‘브리간타조(Brigantaggio)’라는 게릴라 반란군을 통한 저항이 발생했다. 즉, 이 에피소드는 이탈리아 통일과 이에 따른 ‘도적떼’라는 뜻을 가진 게릴라 반란군의 발생을 상징하면서 동시에 이를 풍자한 것이 아닐까?
이처럼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사회를 어린이들이 평안 무사하게 자라기 힘든 환경으로 보았기에 저자인 카를로 콜로디도 피노키오가 죽는 새드 엔딩을 꿈꿨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카를로 콜로디는 끝내 피노키오를 부활시켜야 했다. 어떻게 보면, <마지막 사건>(1894)에서 셜록 홈즈를 죽인 아서 코난 도일(Arthur Conan Doyle, 1859~1930)처럼 독자들의 요청으로 주인공을 부활시킨 셈이다. 그런데 카를로 콜로디의 경우, 피노키오를 부활시키면서 유령이 푸른 머리의 요정으로 변화
하는 등 동화적 요소가 향신료처럼 뿌려지는 변화가 발생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이러한 요소들 때문에 사람들은 <피노키오의 모험>을 단순히 동화로 착각하게 된다. 물론 여기에는 월트 디즈니(Walt Disney, 1901~1966)의 애니메이션 <피노키오>(1940)의 역할이 크다. 그에 의해 <피노키오의 모험>이 가지고 있던 사회를 향한 풍자와 상징이 거세되었으니까.
꼭두각시가 아닌 인간, 피노키오의 입장에서는 축복일까 저주일까?
분명히 어떤 버전을 선택해도 새롭게 만들어진 결말은 똑같다. 요정이 꼭두각시 나무인형 피노키오를 활기찬 모습의 소년으로 바꾸어 준다. 그런데 이것이 진짜 해피 엔딩일까?
이야기 속의 사회가 바뀌지 않았다면, 인간이 된 피노키오는 어떤 삶을 살았을까?
피노키오는 다섯 달 넘게 매일 아침 해 뜨기 전에 일어났어요. 물레방아 바퀴를 돌리고, 아빠의 건강에 아주 좋은 우유 한 잔을 벌어 오기 위해서였지요. 이것만이 아니었어요. 남은 시간에 갈대로 광주리와 빵 바구니 엮는 법을 배웠고, 바구니를 만들어 번 돈을 아끼고 아껴서 생활비로 썼어요. [p. 296]
꼭두각시 시절에 했던 노동을 반복하는, 피곤한 노동자의 삶을 계속하지 않았을까? 물론 요정이 은화 40개를 금화 40개로 바꿔주었지만, 5개월 정도 노동하고 은화 40개를 저축할 수 있었다면, 금화 40개도 신세를 바꿔줄 만큼 큰 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피노키오의 입장에서 꼭두각시 인형에서 인간으로의 신분상승(?)이 보상이 아닐 수도 있지 않을까?
왠지 카카오99% 초콜릿을 한 입 머금은 것 같은 씁쓸한 기분이 든다.
1) 원래 결말은 피노키오가 여러 잘못을 저지르다 결국 나무에 목매달려 죽는 것이었으나, 반응이 너무 좋았기에 편집자의 요구로 피노키오가 파란 요정의 도움을 받아 되살아나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2) 15번째 에피소드에서 짙은 파란 머리 소녀는 피노키오에게 “나도 죽었어”, “ 날 실어 갈 관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어”라고 대답하며 문을 열어 주지 않았다. 그러다가 16번째 에피소드에서 갑자기 (알아 둘 필요가 있겠네요. 짙은 파란 머리 소녀는 천 년 전부터 그 숲에 살고 있는 아주 마음씨 고운 요정이었어요.)라는 추가 해설이 삽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