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의 과학
지진에 감춰진 거대한 이야기를 책 한 권으로 알게 되는 순간이다.
지진, 신이 내린 벌인가! 자연의 재앙인가!
과학적 시선으로 지진을 마주하는 순간이다.
지진학의 다양성과 유용성에 놀라기도 하며 흥미롭게 책과 마주한다.
바쁘게 돌아가는 세상!
사람들은 모든 것을 쉽게 잊으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가깝게는 지난 3월 태국의 지진
또는 2017년의 경주 지진과 포항 지진으로
우리나라도 이제 지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다.
또한 개인적으로는 올 1월 가오슝 한 달 살기를 하면서 대만 타이난에서 발생한
6.2의 지진을 몸소 겪었던 터라~
늦은 밤 숙소에서 마주한 지진에 놀랐던 순간을 잊을 수가 없다.
책을 읽으며 지진의 발생 원리와 재해에 대한 대응 등을 이해한다.
2010년 아이티에서 발생한 규모 7.0의 대지진은 200년 만에 발생한 지진으로 22만명이 사망했다.
2001년 9월 11일 세계무역센터 항공기 테러 사건으로 일어난 건물 붕괴는 지진 규모로 2.1과 2.3을 기록하며 지진파에 포착되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지진학이 중요한 사건 분석 도구로 활용된 사례는 2010년 3월 26일 천안함 폭침 사건이다.
당시 북한의 어뢰 공격, 암초 좌초, 함선의 피로 파괴 등의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을 때 지진학적 기법으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분리한 결과 수증 폭발에서 발생한 폭발음이 지진계에 기록되었다.
저자가 서두에 밝힌 말 대로 지진학은 알수록 흥미와 재미가 더해지는 학문이다.
지진학은 작게는 지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이지만, 지진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는 연구도 아우른다.
북한의 핵실험과 같은 강력한 폭발도 지진파를 통해 탐지할 수 있다.
북한의 핵실험에서 발생하는 지진파는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감지된다.
이러한 은밀하게 진행되는 핵실험도 그 규모와 위치, 시간까지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는 것이 지진학의 한 분야라니!
또한 코로나 시기에도 지진계에 기록된 잡음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의 유효성을 관찰했다고 한다.
3년 4개월 동안 전 세계에 퍼진 코로나 19로 약 6억 8700만 명의 확진자와 69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당시 지진계에 기록된 잡음은 사회적 변화가 지진계에 과학적으로 기록된다는 사실을 알게 했고, 이로써 지진계는 단순히 자연 재해 뿐 아니라, 인류의 위기와 변화도 과학적으로 기록하는 중요한 장치라는 것이 밝혀졌다.
"한반도는 일본이 막아줘서 큰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동안 생각했던 이러한 어렴풋한 소문들이 명백한 오해라는 것도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지진은 이웃 국가가 막아줄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지진을 일으키는 주된 힘인 응력이 땅속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국경에 어떤 영향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은 삼국사기,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등에 지진과 관련된 많은 역사적 기록들이 남아있다.
1518년 5월 15일 중종 13년의 지진 기록에는
"오후 5시~7시에 세 차례 크게 지진이 있었다.
그 소리가 마치 성난 우레 소리처럼 커서 사람과 말이 모두 피하고 담장과 성첩이 무너지고 떨어져서, 도성 안 사람들이 모두 놀라 당황하여 어쩔 줄을 모르고 밤새도록 노숙하며 제 집으로 들어가지 못하니......."
이 외에도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지역에서 발생한 779년 경주 지진으로 100명이 사망했고, 고려시대에는 1024년과 1038년 지진으로 석가탑이 무너진 기록이 남아있다.
지진은 왜 일어날까?
한반도는 지진 안전 지대일까?
책에는 지진의 발생 원리부터 조기 경보, 재해, 지진 해일까지 다양한 사례를 폭 넓게 다루고 있다.
책을 읽으며 포항 지진과 태국 지진 발생 당시의 유튜브 영상을 찾아보며 지진은 한 순간 인류가 쌓아온 모든 것을 단 몇 초 만에 사라지게 할 수 있다는 사실에 지진을 관측하고 분석하는 지진학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자연 현상을 이해하고 슬기롭게 대처하는 법을 배워야 할 것이다.
홍태경 교수님의 놀랍고 재미있는 지진 이야기 한번 쯤 읽어보기를 권한다.
#지진의과학 #지진 #홍태경 #자연재해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과학책 #이론
#책추천 #독서 #독서모임 #지진경보 #역사 #책 #지구물리학 #학문 #교육 #논문
#지구 #지구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