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방팅님의 서재
  • 숨은 길 찾기
  • 이금이
  • 11,250원 (10%620)
  • 2021-09-10
  • : 1,690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갱지로 된 신문을 펼치면 맨 마지막 장 끄트머리엔 언제나 ‘숨은 그림 찾기’가 있었다. 그림 아래 정답이 있긴 했는데 일부러 안 보이게 하려고 뒤집어 써 놓았다. 나는 그림 안에 숨겨진 작고 불분명한 정답을 찾기 위해 본 곳을 보고 또 보았다. 눈이 빠질 것 같다고 생각할 즈음 겨우 찾게 된 정답에 색연필로 색칠을 하면 그제야 숨은 그림이 선명해졌다.


<숨은 길 찾기>의 바우와 미르, 소희는 숨은 정답을 하나씩 찾아냈다. 내가 누군지도 모르겠고, 내가 뭘 잘하는지도 모르겠고, 내 마음이 누구와 맞닿아있는지도 명확치 않았던 아이들이 저마다 하나씩은 선명한 형상을 쟁취해냈다. 그리고 거기에 흐릿하게나마 색칠도 했다. 흐릿한 그림에서 아직은 작고 불분명 하지만 빽빽하게 드리워진 그림자 안에서 꿈과 사랑을 찾아낸 것이다.

요즘 아이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진로교육을 받는다. 진로적성 검사와 직업탐방 교육도 함께 받는다. 내가 누군지 깨닫기 전에 진로에 대한 고민도 숙제처럼 받아든다. 어디서 주워들은 얘기로 요즘 중학생들 사이에서 ‘꿈이 없다’고 하면 진도를 못따라가는 것처럼 여기고, 그래서 남들 몰래 지식in에 어떤 꿈을 가지면 좋을지 질문을 올린다는 얘기도 들었다. 이런 모습이 안타까운 건 왜일까? ​

그런 시각으로 보면 바우, 미르, 소희의 치열한 길찾기가 안쓰러워 보일 만도 한데, 이들이 기특해 보인 이유는 아마도 진로를 찾아나가는 청소년의 이상적인 모습을 그려주었기 때문일 것이다. 자신의 진로에 대해 일찍부터 확신을 가진 아이도 있고(소희), 그 길이 맞는지 모르겠지만 일단 마음이 끌리는 대로 시작해본 아이(미르)도 있다. 좋아하는 것을 진작에 찾아 실행에 옮기고 성과를 내는 아이(재이)가 있는가 하면, 좋아하는 것을 찾았지만 가족과 주변의 시선 때문에 망설이다가 큰 용기를 낸 아이(바우)도 있다.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깊은 마음을 들여다볼 줄 알고, 허풍으로 시작했지만 가슴에 부는 바람을 따라가는 용기도 낸다. 어른들의 응원과 지지에 목을 매는 아직은 어린 나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와 협상하며 내 길을 취할 줄도 안다. 그래서 읽는 이들은 바우, 미르, 소희, 재이를 응원하게 되는 것 같다.

작가는 이 아이들의 시작에 응원을 아끼지 않았지만, 또한 그 길이 쉽지 않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느티나무가 그려주는 그물 같은 그림자가 ‘진짜 찾기 어렵게 숨겨 놓은’ 길이 될 수도 있다고 말이다

그물보다는 길이 더 마음에 들었다. 그러자 그림자가 달리 보였다. 소희는 나뭇가지 그림자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난 길을 연상하고 있었지만 미르에게는 자기 앞에 놓인 수많은 길로 보였다. 진짜 길은 찾기 어렵게 숨겨 놓은... p200

​​

하지만 생각해보면 꿈을 찾기란 정말 어렵다. 나만 봐도 아직까지 꿈을 찾아 방황하고 있지 않은가. 이 나이에도 바우, 미르, 소희와 똑같이 숨은 길 찾기를 하고 있다. 꿈과 진로 고민은 일찍부터 고민해야 하는 고충일 뿐 아니라 어른이 되어서도 계속될 수 있는 ‘일상’적인 일임을, ‘작가의 말’에서 읽고 위로를 얻는다.

​어릴 때는 어른이 되면 삶을 꿰뚫어 볼 줄 아는 혜안은 물론 앞날에 대한 예지력도 생길 줄 알았다. 하지만 나이 들수록 인간은 영원히 불완전하며 미성숙한 존재임을 더 확실히 느끼게 될 뿐이다. 한동안은 그런 사실에 자괴감과 무력감을 느끼기도 했지만 이제는 그조차도 오만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기에 이 작품 속 어른들은 아이들과 다를 바 없이 실수하고 실패하고 좌절하며 새롭게 시작한다. 어른들이 자기 역시 불완전한 존재임을, 사신이 알고 있는 것만이 정답이 아님을 인정할 때 아이들은 좀 더 자기 삶에 책임감을 갖게 될 것이며 또 조금 더 행복해질 것이다. p204 작가의 말_초판 중에서

​나는 <숨은 길 찾기>가 3부작의 끝이 아니길 바란다. 각자의 길에 첫 단추를 꿴 아이들이 그 길에서 만나는 또 다른 곁가지 길들을 어떻게 겪어내고 성장할지 더 지켜보고 응원하고 싶다. 이제 막 자신만의 세계에 주춧돌을 세운 아이들이 그 위에 어떤 벽돌을 올릴지, 어떤 기둥을 세울지 궁금하다. 이금이 작가님, 10부작까지 써주시면 안 되나요?

* 해당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료 제공 받았습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