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납은 확증도 개념에 대한 실질적 설명을 의미론적으로 제시하였다 확증도 개념은, 임의의 대상언어 문장 h와 e를 논항으로 취하여, 그 한 쌍의 문장으로부터 0과 1 사이의 값이 사상되는 2항 메타언어적 함수인 c(h, e)로서 도입되는바, 가설 h가 근거 e에 토대했을 때 갖는 확증도의 산출값은 ‘c(h, e)=r‘로 표기된다 귀납논리적 문장 자체와, 구체적인 앎의 상황에서 그것을 사용하는 일은 엄격하게 구분되어야 한다 문장 h가 실제로 적법한 가설을 서술하고 문장 e가 참인 경험적 지식을 표현하는지 여부의 문제는, 귀납논리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상황에 대한 적용의 문제에 속한다˝
- v. 스테그뮐러, 현대 경험주의와 분석철학
예전에는 ˝논리는 논리를 위한 것일 뿐˝이라는 ˝인간 실격˝의 한 구절을 혐오했었다 카르납 같이 똑똑하고 냉철한 사람도 그런 내포적 명제를 받아들이는 마당에, 연금복권 한 번 안맞았다고 풀죽은 멍청이가 함부로 혐오하기에는 참 큰 말이었다 로또번호의 확증도를 어떠한 귀납적 함수체계를 이용해 사상시키는지는 몰라도, 뛔잉 하고 울리는 당첨번호 계산기 어플 알림을 보고는 노오란 각종 세금 지로서나 내가 과속해서 날아온 과태료 고지서 등지에 당첨번호를 메모했다가 복권방에 들고가 고개 멀리 눈 찡그리며 번호를 마킹해서 복권을 사는 엄마의 옆얼굴은, 답해질 수 있는 모든 문제가 과학적으로 대답되더라도 삶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느껴질거라 말했던 비트겐슈타인의 초상을 떠올리게 한다 가구도 몇 안 되는 방에서 살았던 그가 생각한 삶의 문제란 것은, 당첨금으로 존나 큰 냉장고랑 김치냉장고 한 두 대 사서 반찬걱정 쉰김치 걱정 없이 살자는 엄마가 생각한 삶의 문제보다 과연 컸을까 작았을까 궁금하다 노르웨이 통나무집에서도 켐브리지에 복귀해서도 콩요리 통조림만 먹고 살아도 별 문제될 게 없다 생각한 비트처럼, 엄마가 볶아놓고 데쳐놓고 무쳐놓은 매일 같은 밑반찬만 먹어도 하냥 질릴 일 없다 생각하는 나의 삶의 문제는 또 어떠할까 궁금하다 세상에 나만 남고 아무도 없어지는 L-공간 집합이 주어지면 ˝세상 모든 맛있는 음식의 맛은 신이 보내신 엄마들의 수 만큼이나 많다˝는 보편 양화문은 L-거짓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