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천국지기의 문화산책
  • 포기할 자유
  • 이재구
  • 16,650원 (10%920)
  • 2025-04-30
  • : 800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후기입니다.


이 소설의 시대적 배경은 일제강점기부터 현대까지 한 가족의 몰락과 부흥하는 과정을 통해 인간이 가진 탐욕과 이기주의의 속성을 드러내는데 초점을 맞췄다. 평산댁과 '형' 돌림자를 쓰는 5남 4녀인 형일, 형미, 형남, 형구, 형숙, 형경, 형호, 형민, 형은은 몰락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지만 악착같이 밑바닥부터 생활하면서 일해온 덕분에 집안을 일으켜 세운다. 현대사를 관통하며 자본주의에 매몰되어 돈을 좇게 되면 어떤 비극적 상황을 낳게 되며 함몰될 수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돈이 부족할 때는 끈끈했던 형제애도 회사를 운영하며 사업체가 커지고 이권이 점점 개입될수록 틀어진다는 걸 비극적으로 그려낸다. 욕망이 꿈틀거린다는 건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양보보다는 모두 다 가지려는 욕심과 이기주의가 팽배해져 온갖 수단을 동원한다. 


소설 속 목차 제목이기도 한 <포기할 자유>로 정한 이유도 돈 보다 소중한 것은 가족과 형제라는 걸 일깨워 주고 싶은 의도였을지도 모른다. 형제들끼리 소송을 걸고 마피아까지 동원할 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가정 형편이 어려웠을 때 서로가 서로를 챙겨주고 자신이 가진 작은 것도 나눠주던 사이가 왜 적대적 관계로 돌아서야 했을까? 그동안 쌓였던 감정의 골이 회복하기 어려울 만큼 상처로 자리 잡았고 비수가 되어 돌아온 것은 씁쓸한 일이다. 어마어마한 유산과 충격적인 사건이 연속으로 이어지며 소설은 후반으로 치달을수록 무겁고 어둡게 변한다. 사업체도 점점 성장하며 이제 아무런 걱정 없이 편안하게 살 법도 한데 돈이 개입하면서 모든 것이 예기치 못한 불행 속으로 빨려 드는 것은 드라마, 소설 속의 이야기로만 치부할 수 있을까?


한 가족의 일대기면서 자본주의 속에 사는 우리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특히 많은 것이 걸려있고 서로가 양보 없이 차지하려 들수록 그 끝엔 절망과 비극밖에 없다. 그래서 피를 나눈 형제끼리 서로에 민·형사상 소송까지 불사하며 맞서는지도 모른다. 어떤 면에서 보면 거의 막장 드라마 수준의 가족이다. 어엿한 회장 자리에 오른 형구는 사실 가족을 일으켜 세운 기둥인데도 형제끼리 화목해 보지만은 않다. 특히 형남과 형구, 형호 사이에는 항상 긴장감이 맴돈다. 결국 이들에게 남는 것은 무엇인가. 피 냄새가 진동하는 복수로 과연 행복을 얻을 수 있었을까. 후반부는 너무나도 충격적이었고 과연 이렇게까지 해야 했을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결국 욕망의 늪에서 벗어나 포기할 것은 포기해버렸다면 비극으로 치닫지는 않았을 텐데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