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카밧진을 알고 마음챙김을 수련하면서 개인적으로 마음건강이야말로 노화지연 생활습관을 뒷받침하는 가장 중요한 원동력이라는 점을 느꼈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 때문에 탐욕, 분노, 어리석음에 사로잡혀 마음챙김에서 멀어지면 어느 순간 가속노화 생활습관이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것으로 더욱 실감했다. 사람의 뇌는 가만히 있어도 엔트로피가 증가하도록 만들어져 있고, 현대사회의 자극과 스트레스 역시 마음의 엔트로피를 높이는 방향으로 끊임없이 압박한다. - P137
마음챙김 명상
: 초기 불교 명상의 일종인 위빠싸나 명상의 핵심 요소인 사티(지금 현재에 마음을 두어 자세히 살피는 것)를 서구에서 mindfulness‘로 번역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마음챙김‘ 또는 ‘마음다함‘이라고 한다. 그러나 초기 불교의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사티의 정의와, 근래의 마음챙김 명상의 광범위하고 느슨한 조작적 정의에는 다소간의 차이가 있다(정준영, 박성현, <초기 불교의사띠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마음챙김 구성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상담 및 심리치료>> 22권 1호, 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