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김미경님의 서재
  • 좋은 선택을 이끄는 엄마, 코칭맘
  • 정은경
  • 12,420원 (10%690)
  • 2016-03-07
  • : 117

아이가 어릴 적에 고민을 참 많이 했었다.


어떤 고민이냐하면,

이 아이에게 내가 어떤 엄마로 남을 것인가?였다.


'어떤'이라는 짧은 두 글자 속에는,


엄마로서 아이에게 해줘야하는 어마어마한 일들(육체적/정신적인)이 담겨 있을수도 있고,

혹은 그 반대일수도 있다('얼른 얼른 자라다오'하고 아이의 몸만 키우려던 심산이었을 때였다).


엄마라는 타이틀을 대하는 마음은 그야말로 '해석의 자유'라는 뜻이다.


아이를 낳고 나보다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는 엄마들을 본다. 안쓰럽다. 그러한 열정이 어디에서부터 솟구치는지 정말 궁금하다. 모성? 글쎄...


모성도 원래부터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지 않던가!


모성이 뛰어나서 자녀를 멋지게 키우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아무래도 그건 '노력'이다.


자녀들을 행복한 어른으로 키워낸 부모님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아이의 인생을 자신의 인생으로 끌어들이지 않는 것.


즉, 아이는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해주면서 그 안에 잠재된 능력과 재능을 끌어내서 키워주는 양육방법이다.


그런 점에서 최근에 읽은 정은경님의 <좋은 선택을 이끄는 엄마, 코칭맘>은 다른 부모교육서에 비해 신선했다.



 

'코칭'이라는 기술을 자녀교육에 접목시킨 그녀는 자신의 아이를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로 만들었다고 한다.


아이와 대화할 때, 주로 질문법을 사용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대부분의 자녀교육서에서도 아이에게 질문을 많이 하라고 한다. 그 말인 즉은,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게 하여 답을 찾게끔 기회를 주라는 말이다.


그런데 실상 그것이 참 어렵다. 왜냐하면, 부모인 우리자신들도 생각하는 힘이 길러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지시적이고 명령하달, 암기식의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에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진 적도 답을 해본 적도 없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저자 정은경은 외동인 아이를 위해서 '어떡하면 아이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주도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을까?'하고 수없이 고민한 엄마였던 것 같다. 

 


프로필을 보니 저자 스스로도 공부하는 엄마, 연구하는 엄마의 모습이다.


 


책 한권을 읽었으니,

나도 무언가 우리집 상황에 맞게 실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생각을 실천에 옮겼다.


'가족들의 강점찾기'


아이들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게끔 도와주는 방법 중 으뜸이 바로


강정/장점/좋은점/멋진점/훌륭한 점을

찾아주는 것 아닐까.


오늘 아이들이 집에 오면 간식 먹이면서 한 번 해봐야할 것 같다.

롤링페이퍼 형식으로

자기가 느끼기에 자기의 강점을 써도 좋겠다.


자기애가 샘솟고, 가족애가 샘솟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본다. ^^

좋은 선택을 이끄는 엄마, 코칭맘.정은경,라온북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