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키르케고르를 이해하는 데 뜻 깊은 책이다. 키르케고르의 사상에 대하여 질문을 받을 때 가장 많이 나오는 1번 질문은, "키르케고르는 공동체를 무시하지 않느냐?" 그는 외골수, 단독자, 외톨이가 아닌가? 이런 질문이다. 《사랑의 역사》(1847)가 특별한 이유는, 그가 공동체를 무시하는 사상가가 아님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사랑의 역사에 관한 성찰
키르케고르는 특이하다. 믿음을 말하는 게 아니라, 믿음의 속성을 말한다. 사랑을 말하는 게 아니라 사랑의 속성을 말한다. 기독교의 내용을 말하기 보다는, 그 내용을 어떻게 내 것으로 삼는지를 말한다. 사랑의 역사, '역사'는 history가 아니라 work이다. 사랑이 어떻게 일하는가를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사랑의 역사, 2가지 측면
키르케고르가 말하는 사랑의 역사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첫째, 사랑은 형언할 수 없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다. 하나님은 헤아릴 수 없이 무궁무진하시다. 둘째,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사랑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루터가 비록, 행위로 구원을 살 수 없다고 했지만, 루터는 사랑에 기반한 행위가 그리스도인의 삶의 필수적인 요소이며 열매임을 말했다. 이 책은 예수님의 '위대한 명령'인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