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1
tksch123님의 서재
  • 대화의 기적
  • 루엘 엘 하우
  • 10,450원 (5%320)
  • 2000-02-10
  • : 75

대화하기가 왜 이렇게 어려운 가 에 절망하다가 이 책을 읽게 됐는 데,  

원래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게 쉽지 않은 거라는 것을 알게 돼서 희망을 갖게 되엇다.  

마치 어둠 속에서 환한 한줄기 빛이 비치는 듯한 느낌이다.  

 

p. 48.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사이에는 커뮤니케이션의 장애가 가로놓여 있다
(말하는 편에서 전하고자 하는 의미를 받기 전에 듣는 사람에게는 다소간의 수정이 필요한 의미와 태도를 마음 속에 갖고 있게 된다. )
 
따라서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이나 자신의 마음의 구조와 감정을 모르고 잇다면, 커뮤니케이션이 생기지 않는다  (서로 분리된 채로 머물러 있게 될 것이다. )

그래서 서로가 서로에게 말을 한다는 것은 이렇게 양쪽에서 돌을 하나씩 놓으면서 조금씩 가까워지는 과정이다 .

3장. p. 53

독백 커뮤니케이션 하는 사람의 유형 

1. 기생충적 - 남에게 관심 없고, 나밍 자기에게 주는 감정에 따라 그 사람을 평가

2. 불안 - 자신을 확증하려 하고 인격적인 상봉을 꺼려하며 자기 생각과 일치되는 것만을 용납하려고한다.

3. 창조성 결여- 닫혀있고, 자기 의미만을 결정적이며 궁극적인 것으로 생각한다.  

 

대화란 모든 장애에도 불구하고, 말을 주고 받는 것

 

54.

대화란 - 한 사람이 본래대로의 자신을 상대방에게 알리고, 또 본래대로의 상대방의 모습을 알려고 하는 노력을 말함  

(자신의 진리와 견해를 상대방에게 강요하거나 덮어씌우려하지 않는다는 것)

 

따라서 모든 순수한 회화는 하나의 존재론적인 사건

 

*대화적인 것이 아닌 교육, 인간 관계, 사랑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은 악한 것이다 -남들을 이용하거나 수단으로 생각하기 때문 

 

63. 한 차례 대화가 시작되면 말하는 사람은 자기의 책임과 융통성이 있게 될 용의를 갖출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는 자기가 알고 있으며 믿고 있는 바를 대표해야 한다. )

 

64. 존재론적인 관심 때문에 불안을 느끼고, 자기 방어에 빠져, 자신을 권위자라고 생각하는 이미지 때문에 난관에 부딪혀서 목적이 상치되게 됨,  <둘 사이에 인간관계가 성장했다는 사실 >

 

65. 장애가 말소되어 지는 때가 아니라, 그 장애가 커뮤니케이션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여질 때 커뮤니케이션이 성취된다.

커뮤니케이션은 결코 진공 상태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이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장애를 받아들이고 이 장애를 양편에서 공격해야 한다. (양편에서 서로 개방하여 저들의 존재론적인 관심에 관해서 서로 도와주며 거기서 생기는 의미장애를 공동으로 극복하려고 노력해야)

 

p. 67

제 4장. 대화의 목적

1. 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은 우리가 해답을 주는 데 있는 게 아니다 - 질문자가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게 도와줘야

 

p. 73 .

 다만 그들의 말을 듣고, 도움이 될 얘기를 해주고, 저들의 사색을 자극시킬 문제를 제기하고, 저들 자신이 해답을 얻기까지 모든 힘을 다해서 도와주는 것이 자기 임무일 뿐 

 

p. 75 .

부모는 아동에 대한 책임을 감당하면서 동시에 아동의 책임을 빼앗아서는 안된다.

 

p. 76 .

(1)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은 사람을 유인하거나 이용하는 데 있지 않고 인격의 세계에 대한 책임적인 관계를 맺게 하는 데 있다.

(2)  커뮤니케이션은 하나의 수단이어서 이로 말미암아 개인과 그룹 사이에 information 과 의미가 전달된다. 과거 연구와 경험, 인간과 사물 등

 

P. 78

대화는 무책임한 '예'보다도 책임적인 '아니오'를 더 존중한다. 

 

독백은 언제나 결론적인 말만을 찾기 때문에, 부정적인 말을 커뮤니케이션 의 실패로 보게 된다.

그러나 대화의 말은 시작하는 말이기 때문에 부정적인 반응도 대화의 한 부분으로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우리에게는 가끔 '예'라고 말하기 전에 '아니오'라고 말해야 할 때가 있다.

 

p. 84

긴장 - 긴장이 충돌을 낳을 수도 있지만 긴장 자체가 충돌인 것은 아니다 - 바이얼린 현이 잘 긴장되어 있으면 좋은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한 관계의 생명력과 그 생활의 형식 사이에 창조적인 긴장이 존재할 때 그 관계는 자라나는것

 

 

생명력과 생활 간의 긴장을 받아들이려고 하는 태세를 갖추고 창조성의 모험을 하여 현재의 생명력과 비등한 새 형식을 찾으려는 모험을 하지 않는 한 이 현재의 가능성을 받아들일 수는 없다.

 

대화의 목적은 생명력과 형식 사이의 긴장을 회복하는 일이며, 관계를 맺은 사람들을 커뮤니케이션 관계로 이끌어 영합에서 자유롭게 되도록 뒤흔들어 놓고 새 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것

 

p. 85

오직 대화를 통해서만 갱생의 기적이 일어난다. 

 

4. 대화의 마지막 목적

인간으로 하여금 인간이 되게 한다.

 

나는 다만 그에게 말을 할 수 있을 뿐이고, 그가 자유롭게 반응을 표시하도록 버려두며, 그러한 교류를 통해서 상호간의 신뢰의 관계에서 인격적으로 만나게 되는 것이다.

 

<94> 대화적인 인격

1. 온 마음과 심정을 가지고 남으 말에 귀를 기울인다. -진실로 현존하는 존재 

2. 먼저 남에게 자기를 보여주는 용의와 능력을 갖고 잇으며, 다음으로는 저들의 보여주는 바를 듣고 받아들일 용의와 능력을 갖춘자.

 

자신을 남에게 제시함

 

97. 대화에 창조적으로 참여하는 인격

확신을 가진 사람/ 그의 근본적인 성격과 순수하게 관계를 맺은 확신이어야 함/ 다른 사람의 확신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사람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