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꿈을 담은 별
[허클베리 핀의 모험]

 
어릴 적 누구에게나 직,간접이든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든 알게모르게 강하게 뇌리속에 깊이 박혀있던 그 동기부여를 해 주는 결정타가 있기 마련이다.여기 그 과거의 내 어릴 적 시간으로 돌아가고프게 만드는 오랜만에 다시 만난 감성적인 소유자인 동시에 자유분방한 헉이가 톰 소여와 짐등과 함께 떠난 모험의 흔적을 따라 떠돌아 보려 한다.그때의 그 설레임으로 무장을 하고 말이다.간혹 톰 소여의 모험과 허클베리 핀의 모험이 같은 책 아닌가 하는 학생들이 있곤하다.것도 그럴것이 톰과 헉은 뗄라야 뗄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19세기 미국의 성장 소설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이름하여  마크 트웨인(Mark Twain)의 '톰 소여의 모험'과 '허클베리 핀의 모험'이라 할 수 있겠다싶다.이 두 소설은 톰과 허크라는 두 소년에 각기 다른 초점을 맞추어 소년들의 유년기의 주인공들의 육체적, 정신적 성장 과정을 형상화하여 주체적인 것을 명확하게 드러냈다는 것이다.예컨대  '허클베리 핀의 모험'은 '톰 소여의 모험'의 후속이라 할 수 있다.읽은 독자라면 족히 알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혹 아니라 하는 독자도 있겠다만 적어도 보는 관점은 그다지 큰 차이는 두지 않을 것 같다.그것은  '톰 소여의 모험'보다 '허클베리 핀의 모험'이 미문학사에서 볼때 문학사적으로 더 높이 평가 받고 있으며 그 모험 스케일 조차도 더 크다는 것을 말이다.

 

이 두 소설을 비교하면서 읽는 것도 꽤나 흥미롭다는 것을 먼저 말해주고 싶다.'톰 소여의 모험'은 미국 중서부 강가 마을에서 벌어지는 아이들의 여러 가지 모험담으로 '허클베리 핀의 모험'은  미시시피 강을 따라  천진난만한 모험을 마크 트웨인만의 인간적인 면모를  바라보게 하는 시각을 지니게 한다.또한 톰은 영리하고 정형화 된 틀에 존재한다면 반면 헉은 일정한 틀을  깨부술 줄 아는 자유분방함과 노예제도와 같은 현실 사회를 비판하면서 현실을 떠나 보다 나은 세계로 나가려 하는 적극적인 성격이 도드라지는 성향을 엿볼 수 있다.

 

글을 읽을수록 사실주의적인 특징을 볼 수 있는 부분은 인물의 성격과 헉이 떠돌아 다니면서 겪는 상황 속에서 현실에 대한 세부 묘사가 치밀하고 구체적인 설명들로 인해  이 작품을 보는 내내 자유로운 영혼인 헉이 큰 미시시피 강을 따라 뗏목을 타고 겪은 모험길에서 만난 크고 작은 사건들과 다양한 인물들은 현대 사회의 인물 군상을 이미지 표현화 한 것처럼 그 시대의 영향을 제대로 반영한 책이 바로 '허클베리 핀의 모험'이 아닌가 싶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