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 출판사 하면서 운영이 힘들다 싶을 때 연락해요.
많이는 아니지만 300만 엔까지는 도울 수 있어요."- P185
추운 줄 몰랐던 것은 작가들 이야기도, 결의 때문도 아니고, 아마 이 복주머니를 얻어서였지 않았을까(복주머니는2014년에 받아 사용했다. 선생님이 아니었다면 쿠온은 물론, 책거리도이 세상에 없었을 것이다).- P185
"박경리 선생님, 저희를 지켜봐주세요. 이다음에는 일본어판을 읽은 독자들과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P193
힘든 것이 생각났다기보다 박경리 선생이 우리를 돌보아주고 계시는구나 싶어서였다. 그렇지 않았다면 도전조차어려웠을 일이다.- P199
그리고 시간이 흘러, 처음 번역출판하겠다고 선언한 지10년 만인 2024년 9월에 일본어판 『토지』 전 20권을 완역해냈다. 1, 2권을 만들어 일본 독자들과 함께 선생님 묘소를 찾았던 것처럼 이번에도 일본 독자들 30여 명과 함께 통영을 찾았다. 2024년 10월 19일. 마치 박경리 선생을 중심에 두고 헹가래를 하듯 모두 『토지』를 한 권씩 들고 묘소 주변을 빙 둘러 책을 헌정한 뒤 다 함께 <아리랑>을 불렀다.- P201
광주에서 태어나 여덟 살까지 그곳에서 살았던 한강 작가는 노벨문학상 수상기념 강연에서 ‘어떤 일이 있어도인간으로 남는다는 것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며 소설을 써왔다고 말했다. 이것은 나 자신도 오래전부터 스스로에게 던져온 질문이기도 하다. 인간으로남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그냥 인간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일이 있어도‘라는 간절한 전제가 붙은 질문. 문학은 우리에게 그 질문을 잊지 않도록 도와준다. 인간으로남는다는 것은 결국 그 질문 하나를 놓지 않는 것일지도모른다.- P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