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odoba님의 서재
  • 소년, 조선의 하늘을 보다
  • 황은주
  • 10,800원 (10%600)
  • 2013-09-10
  • : 270

아! 장영실

'진주의 눈물'처럼 고난과 역경이 깊고 모질수록 감동의 울림은 더 커지죠.그래서 역사적으로 시대를 제대로 타고나지 못해, 불운하게 생을 마감한 위인들이 많습니다. 그나마 장영실은 그의 재능을 알아 본 '세종대왕'의 시대에 태어났기 때문에 그의 천재성을 꽃피울 수 있었죠..

저는 그저 조선시대의 한 과학자로만 알고 있던 '장영실'에 대해, 아이들과 함께 다시 자세히 들여다 보며, 이제서야 그의 삶과 업적이 얼마나 위대하고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유산인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책 속으로

시대는 조선 , 아버지 없이 홀어머니와 사는 주인공 '경이'는 홀로 힘들게 집안을 꾸려가시는 어머님을 도와드리기 위해 새벽녘에 최 객주의 어물전에서 일을 하게 되는데... 시간을 알 수 없어 일어나기가 힘이 듭니다. 결국 주인공은 하늘에 떠 있는 별을 보며 시간을 가늠하는 불확실한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이 시대에는 경이 뿐만이 아니라 많은 백성들이 시계가 없어 불편한 삶을 살았죠..

어쨌거나 빈집이던 경이네 옆집에서 자꾸 기침소리가 들리고 간간히 낮선 사람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하는데요.... 자, 경이는 과학자 '장영실'과 어떤 사건에 휘말리게 될까요?

 

특징 및 구성

1. 동화를 통해 조선 시대의 천문학을 들여다보다

: 조선 시대 천문 기구에 대한 쉽고 재미있는 이해

경이는 어려운 형편을 돕기 위해 새벽에 나가 일을 하게 되면서,

매번 정확한 시간을 알지 못해 불편함을 겪습니다.

그런 경이에게 필요한 것은 '시간'!!

경이가 시간을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조선시대의 '천문학'과 관련된 '발명품'들과 그 원리들을 자연스럽게 배우게 됩니다.

저희때는 그저 '장영실의 발명품'을 암기하는 것이 고작이였는데,

이 책에는 개별의 발명품의 작동 원리까지 설명되어 있어서,

기억하기가 훨~~씬 수월할 뿐만 아니라,

그 발명품이 왜 대단한지 그 진가를 느낄 수 있습니다.

우리는 과학하면 '서양의 것'만 떠올렸지,

우리에게 이렇게 소중하고 훌륭한 과학적 자산이 있었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지요.

그런 의미에서 스스로를 열등한 민족으로 치부하던 과거와 다르게,

우리의 것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문화적 자신감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야기를 따라가면서 자연스레 장영실의 천문학 발명품들을 만날 수 있어요~

각 주제장 마지막장에는 발명품의 작동원리와 의의 등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어요~

아래 사진처럼요.. 내용이 많아서 몇 개만 올려요~~


2. 최대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해 이야기를 펼치다
: 조선 시대 과학자 장영실에 대해 안타까운 상상

이 책『소년, 조선의 하늘을 보다』에서는 '조선의 과학자,

장영실' 의 뒷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지금도 상영중인 영화『관상』처럼 역사적 사실에 작가의 상상력을 빚어,

장영실이 세종의 가마를 잘못 만든 죄에 대한 벌로

곤장 80대를 맞고 궁궐에서 쫓겨난 이후의 시간,

장영실에 대해 알려지지 않은 뒷이야기를 흥미로운 상상력으로 풀어 내고 있습니다.

실존 인물들과 가상인물들이 어색함이 없이 공존하며,

자연스럽게 당시의 상황을 그려내서,

우리 아이들이 조선 시대 초기의 모습과 당시의 문화, 과학 기술 등 통합적 지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습니다.

3. 역사동화지만 이야기로서의 긴장감과 재미를 놓치지 않다
: 수상한 아저씨를 만나면서 겪는 한 소년의 성장통

자식이 없었던 장영실, 어려서 아버지를 잃은 경이가

서로를 의지하고 돌보며 마음을 여는 성장스토리와

 

신원을 알 수 없는 자객들의 등장 등은 긴박감을 주며 스토리에 빠져들게 합니다.

나오며..

지금 우리는 우리의 하늘을 마음껏 바라보며 천문 관측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선 초기에만 해도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누구나 볼 수 있는 하늘을 왜 관측하고 연구할 수 없었을까요? 바로 중국의 명나라 때문이었습니다. 조선 초기 조선은 명나라를 떠받들고 있어서 여러 가지 정책을 명나라의 허가를 받아야 했지요. 그래서 하늘을 보는 방법도 명나라의 것들 따랐지요. 하지만 조선 사람은 조선의 하늘을 봐야하는 법. 그래서 용기 있게 우리의 하늘을 바라보고 해시계, 물시계, 혼천의 등을 만들어 낸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바로 세종대왕님과 임금님의 뜻을 받아 우리 '고(古)천문학'의 꽃을 피운 장영실이지요.

지금도 우리는 자신의 힘을 유지하고 독점하하기 위해, 그로인해 자신의 통치아래 통제하려는 크고 작은 힘의 권력을 목격하곤 합니다.

역사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교훈'을 주지요. 역사는 외우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느끼고 미래를 내다 볼 수 있는 '혜안'을 갖게 하는 학문이지, 줄줄줄 시간순으로 나열된 사건이나 사실들을 암기하여 오지선다형 중에 하나를 고르는 '암기과목'이 아닌 것이지요.

오늘 『소년, 조선의 하늘을 보다』를 통해 그 시대의 인권과 국가적 위상, 충성심, 열정, 가치관 등을 느낄 수 있었고, '고(古)천문학'에 대해서, 우리에게도 훌륭한 과학문화가 있었다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