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2esang11

파울 첼란.

그는 결국 1970년 나이 50에 센 강에 뛰어들어 죽었다. 그가 남긴 시는 전 세계로 번역되어 비껴간 인연의 모르는 사람들이 인연으로 읽고 방을 서성이며 그의 절규를 (기쁘게) 음미한다.

목 넘김이 거친 ‘유골함에서 나온 모래’ 섞인 맥주 같은 그대의 시여! 날은 어둡고 몸은 쇠한데 쉬이 넘어갈 날 언제려는가. 타는 몸, 날아오르는 연기, 사라진 고통 어둠 속 소멸된 몸, 생생하여 울부짖는 시인이여 망각하라, 타인에게 넘기라. 공중으로 흩어진 희뿌연 그대 부모 몸! 남지 않은 몸, 남은 넋이여, 안식 있으라.

 

1962년 전혜린은 ‘파울 세엘란의 시 중 <죽음의 둔주곡>을 번역하여 국내에 최초로 소개했다. 파울 세엘란으로 시작한 그 이름은 파울 체란, 파울 첼란, 파울 셀란, P.첼란이다가 지금은 ’파울 첼란‘으로 굳혀졌다.

여러 출판사에서 여러 독문학자들에 의해 15회 이상 파울 첼란의 시는 번역되고 거의 절판되었으나(전영애와 허수경의 번역판은 판매 중_시인 같은 번역가, 번역가 시인), 제목은 모두 <죽음의 둔주곡>이거나 같은 뜻인 <죽음의 푸가>다.

 

버릴 책이 없도록 심혈을 쏟는 전영애는 <죽음의 푸가-파울첼란 시선>을 2011년 민음사에서, 언젠가 들러봐야 할 먼 곳에 묻힌 시인 허수경은 <파울 첼란 전집> 총 5권을 2020년 문학동네에서 냈다. 

두 책 다 (내가 싫어하는)띠지가 있고, 민음사는 책갈피 줄이 없고 문학동네는 매달았다. 전영애는 직역, 허수경은 의역으로 번역했다.

일례로 <풍경>이라는 같은 제목으로 번역한 세 줄짜리 시를 보면,

너희 키 큰 포퓰러-이 땅의 사람들!(전영애)

그대 높은 포퓰러들이여-이 땅의 인류여!(허수경)

이 구절로 포퓰러 밑에 스러진 사람들이 느껴지고, 이들의 번역에서 동물의 생명권을 환기시키기 위해 ‘마리’ 대신 ‘님’으로 부르거나 ‘명’으로 세는 엠지세대 감각이 느껴지는데, 나무도 '그루' 대신 '명' '분'은 가능하다.


이들의 번역은 순혈 직역과 순혈 의역이라 칭할 수도 있는데, 나 같은 독자 입장으로선 이렇게 한 쪽으로 제대로 쏠린 방법론의 번역이 (두 권을 같이 보기만 한다면, 다 살 수만 있다면) 가장 좋다. 복수의 번역가들은 암묵적으로 짐을 나누고 이 점을 참고해주면 고맙겠다.

‘라떼’야 아무리 조악한 번역이라도 감지덕지 읽었고, 심지어 두세 명의 노고가 느껴지는 번역판도 소중히 간직했다. 직역의역 논쟁이 있지만 직역보단 의역이 아무래도 읽기엔 편하다. 그러면서도, 멋모를 땐 그냥 읽었소만 임의로 갖다 붙인 번역자 당신의 문장 말고, 그래서 원저자는 정확히 뭐라고 썼습니까, 라며 따져들고 싶을 때도 있다. 골머리를 앓으며 한 단어 한 단어 선택을 위한 고심과 들인 시간과 노오력은 오간데 없어지는 것이다.


어차피 어쩔 수 없는 공통저자일 수밖에 없지만 그렇다고 내 생각대로만 번역했다고 점점 대놓고 주장하는 경향이 요즘 늘고 있는데 그런 역자는 (나에게) 신뢰가 깎인다. 독자란 최대한 원문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문장이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번역해주길 바라는 (불가능한) 주문을 하는 사람들이므로.

 

현 우크레인 영토인 루마니아 에서 태어나고, 가정 내부의 독일어 선택적 언어 상황과 2차대전이라는 복잡한 시대상황, 부모가 나치에 의해 유태인 집단 수용소에서 학살(된 것으로 추정)되고 자신은 도망쳐, 최종 파리에 정착해 화가와 결혼하고 아들 낳고 살았으나, 이 나라 저 나라 ‘욂겨 댕겼으니’ (게다가 육체노동 없는 정신노동으로만 전량 소진되었음이니) 어느 순간 정신 줄 놓고 쫒기는 망상에 시달린 게 다 이유가 있을 것이다.

본명인 ‘안첼‘을 거꾸로 하여 ‘첼란‘으로 시를 발표한 그는 시 제목은 참으로 명확하여 나의 심장으로 파고들어온다 마는 내용은 눈 감고 만져서 이름 맞추기 게임의 검은 통에 든, 아리송한 모르는 물체와도 같다. 생각 날 듯 날 듯 모르겠는 것.

 

그는 나무의 가지를 치고 열매를 솎고 도끼로 나무를 패고 풀을 뽑고 허수아비를 만들고 새참을 먹고 원두막에서 한숨 자고 하늘의 흘러가는 구름으로 날씨와 대기상태를 점치고 밤에 호박나이트에 잠시 들러 춤을 추고 집으로 와서 자녀에게 책을 읽어주고 교훈적 발언을 하고 다음날 먹을 야채를 다듬어놓고 속히 잠자리에 들지 못했다.

독자는 잔혹한 사람들. 저렇게 고통으로 점철된 이의 글이 읽고 싶어 대기하는 사람들. 죽은 뒤 전문가의 안내를 따라 독자 개별로 이루어지는 심리부검. 가련한 생이여, 푸성귀를 뜯으며 생명의 신비를 음미할 자신의 텃밭도 맘대로 들어가도 무방할 친한 남의 논도 없구나.


허수경은 독일에서 암으로 죽고 그곳에 묻혔지만 살 집이 없어 고국에 돌아오지 못한다는 시를 남긴바 있다. 그게 가슴을 친다. 책값은 너무 싸고, 번역가의 수고비도 너무 낮다. 책값을 2.5배 올리고, 책을 더 소중히 간직하고 출판사도 사려 깊게 출판하고, 정부는 절판된 책들이 빛을 보도록 지원이 있길 바란다. 이 시집들 강추하는 이유는 읽을 수록 느낌 오므로.

죽은 파울 첼란, 헤린, 수경. 이제 우리 마음 속 집에서 살길.

(feat.김창완_이 말을 하고 싶었어요)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