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오산리 산31번지 용인천주교공원묘지(묘지번호; NF54)
신분당선 강남역에서 - 정자역까지 가서 택시로 묘지까지 이동하면 가깝고도 편하고,
버스로 갈 때는 강남역(10번출구에서 백미터 쪽)에서 1151번을 타고
(오산리, 천주교묘지입구역) 정거장에서 하차(입구일 뿐 다른 장소임, 1시간 정도 간격으로 노란색 셔틀버스; 57번, 외에는 간다고 표기되어 있어도 오기임)가 천주교묘지로 가는 게 있으나 택시를 부르면, 1만원 추가로 준다고 해야 오고 아니면 너무 가까운 거리라고 안 옴. 차라리 강남역에서 신분당선 타고 정자역에서 택시 타는 게 나음. 그러나 성남은 성남에서만 운행하는 규칙에 위배된다고 정자역 택시들도 승차거부(?) 하기 시작했으므로 강남역에서 버스 1151이 낫고, 깜찍한 폭스바겐을 이참에 하나 뽑길 권함. (되돌아올때도 묘에서 걸어나와서 묘지입구역 정거장에서 1151이 편함. 몰랐던 처음에는 이렇게 갔는데...
도보 2킬로미터(30분 정도 대형 트럭이 오가는 위험한 찻길을, 대형중형소형미세초미세초초미세초초초초 다 쓸수는 없소, 무한대 먼지를 마시며 걸어가면) - 천주교용인공원묘지가 나타남 - 관리사무소에서 성직자 묘역 방향으로 - 이제부터는 길을 올라가면서 갈라지는 길이 세 번 나오게 되는데, 오가는 차를 조심하며 올라간다. 갈라지는 길을 세며 올라가면, 그 세 번째에 이르러 방향 전환 하여 오른쪽 비탈진 언덕으로 올라가면 꼭대기 쯤에 묘지가 있다
- 번호만 매길 뿐 처음엔 큰 길을 따라 그냥 올라간다. 일단 첫 번째 양 갈래길을 만나면 맘속으로 1번이라고 번호만 매긴다 - 그렇게 조금만 걸어 올라 가면 두 번째 양 갈래길이 나오는데, 2번이라고 번호를 매기고, 세 번째 갈래가 나올 때까지 큰 길로만 그대로 올라간다
- 조금 가다보면 양 갈래 갈라지는 세 번째가 나오는데, 이때는 방향을 바꿔 오른편 골짜기 길로 올라간다. 오를 길 입구에 플라스틱 고무통과 차량진입금지(길없음) 표지판이 있다. 조금 위쪽에 짧은 철제 다리가 놓인 게 보인다. 올라가다 보면 첨탑도 보이는데 에펠탑이거니 생각하고 그 언덕배기를 오른다. 오르는 길은 가파른데, 가파른지라 가파르니 가파르고 가팔라서 참으로 가파르다.
- 조심조심 헥헥대며 졸졸 흐르는 물 소리를 들으며 직진으로 올라가면, 시멘트가 끝나는 데가 나온다 여기서 멈춘다 ㅡ 좌측에 작은 성모상 있는, 비석번호 MF123,
우측에 우뚝 선 중형 전나무가 있다. '깊은 도랑'이 양쪽에 있는 갈라진 길이 보인다. 그 땅의 형세를 보면 '뾰족한 삼각형'이 느껴질 것이다. 오른쪽 길을 택해 오른다(왼쪽에 도랑, 오른쪽은 시멘트 벽면, 그 사이의 좁다란 길 아닌 것 같은 길, 그러나 길이다. 만나러 가는 길).
무주끈 올라가며(왼쪽편만 보며) 전헤린 한글을 기대하고 찾으면 큼직한 게 보인다. '뾰족한 삼각형 땅'에서 제일 끝단(9번째 단)에 있으니 걱정말고 직진한다(깊은 도랑 옆 계단식 무덤들의 층을 세며... 1층 2층... 혹은 1단 2단... 원하는 대로 택해서 세며...9층 혹은 9단까지).
실패하면 내려가서 다시 사무소에서 우측으로 난 길로 올라오기 시작해서 2회 정도 실패하고 나면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1. 비석에 한글로 혜가 아닌 헤, 전헤린이라 적혀 있다.
2. 반드시 용인천주교공원묘지로 가야 한다(택시 탈 때 - 김수환 추기경 묘 있는 곳에 가자고 하면 됨).
3. 용인공원묘지, 천주교묘지 등 용인에는 묘지공원이 많다는데, '용인천주교공원묘지'는 엄연히 다른 장소.
4. 용인천주교공원묘지 입구에 '라라' 라는 푸드까페(차, 돈까스, 백반)가 있다. 이 곳을 발견하고 들어가기 전에 빌자. 심장을 움켜쥐고 쓰러진 하늘의 지바고여, 영원한 안식을.
5. 자그마한 전헤린 묘 앞에, 선명하고 에쁜 보라색 쑥부쟁이 몇 포기가 있다. 갖고 간 물로 비석을 씻어내고 꽃에 물을 주니 부족해서 다음엔 2통을 들고 가야겠다 싶다. 무거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