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서적은 학자가 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외국어를 우리말로 번역할 때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것처럼 학계의 전문용어를 일반독자의 대중언어로 풀어내는 것 또한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정 학문을 낭만 넘치는 미사여구로 포장해 팔아먹거나 쉽고 자극적인 부분만을 족집게처럼 집어내어 설명하는 교양서를 흔히 본다. 독자된 입장으로 '받아먹기'는 쉽지만 이런 책의 책장을 덮으면 찜찜함이 남는다. 마치 설민석의 역사강의를 들은 후의 그런 느낌이랄까.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이야기> 는 그런 점에서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책이다. 흥미롭고 술술 읽히지만 그렇다고 깊이가 없거나 맥락 없이 자극적 사실만 나열한 것도 아니다. 논란이 있는 부분은 논란이 있다고 밝혀 놓으며, 학자로서 저자의 주관 역시도 지면이 허락하는 선에서 실어 놓았다. 저자는 독자들이 자극적인 단어 몇 개로 물리학을 기억하길 원치 않는 듯 하다. 이 책을 읽고 얻은 가장 큰 수확은 '물리학은 이런거야'라고 잘난척 몇마디 할 수 있는 지식쪼가리가 아니라 물리학이 품고 있는 어떤 태도에 관한 것이다. 모든 학문은 인간과 그 주변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일인데 물리학은 여기에 아주 충실한 학문인 것 같다. 특정지식을 보편지식 체계로 엮어내려고 노력하며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기존의 담론을 끊임없이 의심한다. 기존의 환원론적 관점에서 벗어나 알갱이들의 상호작용에 집중하여 복잡한 뭇알갱이계를 해석하고자 하는 최무영 교수의 관점 역시 무척 흥미로웠다.
인간과 우주를 이해하는 일에 흥미 있는 사람이라면, 물리학에 관심있는 중고등학생이라면, 과학책 한 권쯤은 읽어봐야겠다고 벼르고 있던 어른이라면, 그리고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를 읽기 전 워밍 업이 필요한 사람이라면,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