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수능시대의 대비책
xkzmxkzm 2025/03/20 01:56
xkzmxkzm님을
차단하시겠습니까?
차단하면 사용자의 모든 글을
볼 수 없습니다.
- 교실 이데아
- 김신완
- 16,200원 (10%↓
900) - 2025-02-25
: 720
#교실이데아 #김신완 #이혜정 #수능 #IB #MBC교실이데아
#포스트수능 #교육 #입시 #절대평가 #토론식교육 #모두의행복 #을유문화사 #도서협찬
🌿사회가 변하는데도 지독히도 바뀌지 않는것 중 하나는 입시제도이다.
일제시대때 들여온 주입식 제도, 단순한 객관식 평가,
줄세우기식 평가, 상대평가 등은
대학의 서열화를 부르고,
사교육을 부추기며 교육불평등을 낳는다.
총3부로 편성된MBC 다큐멘터리 <교실이데아>는
이런 현실을 꼬집고 IB교육을 지향해서 입시판도까지 바꾸길 취재하였다.
그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교실 이데아>라는
책이 나오게 된다.
🪴 21세기에서 요구하는 핵심 영량은 4c이다.
Critical Thingking 비판적 사고
Creativity 창의성
Collaboration 협업
Communication 의사소통
이 네가지의 역량은 현재의 수능, 내신으로 키워지기 어렵다.
IB교육을 도입하여 미래사회에 대비해야 한다.
🍃주입식이 아닌 다원적 사고 함양
실생활에서 통용되는 역량 개발 수업
논서술형, 구술, 장기 프로젝트 보고서 작성과 평가
공정한 채점제도가 IB 교육의 핵심이다.
가장 우려하는 점이 공정한 채점일텐데,
심사 편차를 줄이기 위한 시드 페이퍼로
채점 일치도를 높인다.
그 후 교차 채점으로 객관성을 높인다.
책임 채점관, 수석 채점관이 각각의 역할로
평가의 신뢰도를 높인다.
그 후 재채점 제도가 있어 학생의 이의 신청을
받아들여 다시 한번 채점이 가능하다.
🌵오히려 객관식은 운으로 찍어 맞추는 경우도 있으므로,
객관식만이 공정하고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을터이다.
🌳IB교육의 이점
상대 평가가 절대 평가로 바뀌면서
서로가 경쟁자가 아닌 돕고 같이 발전하는 관계이다.
교사와 함께 수업을 만들어나가는 수평적 관계이므로
교권추락을 찾아볼 수 없고
더욱 교사를 신뢰하고 학생과 상호작용하는 관계가 된다.
학교에서의 수업과 연구로 평가가 되어지기 때문에
고난도 문제 풀이 위주의 사교육이 크게 줄어든다.
상위권 위주의 줄세우기 입시가 아닌
자신의 발전을 위한 공부가 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도입현황
제주에서 표선고가 전면 도입하면서
기피 학교가 아닌 명문학교로 발전하고 있다.
4개 학교를 추가 지정하며 확산하는 추세에 있다.
대구에서도 부분적으로 일부반을 IB로 운영하며 점차 확산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수도권에서는 아직 현실화가 되지 않고
있는데 아직 갈길이 먼것이 현실이다.
🌳 대학도 미래의 역량에 맞는 교육을 해야
도태되지 않을 것이다.
어떤 공부가 지속적인 성장을 줄것인지 생각해 보아야한다.
시험 따로, 능력 따로인 시대는 끝나가고 있다.
문제만 많이 맞추는 입시는 정말로 구시대적인 일이다.
먼 미래를 내다보는 우리가 되어야 겠다.
ㅡ 을유문화사(@eulyoo)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서평을 썼습니다.
PC버전에서 작성한 글은 PC에서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