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돌이님의 서재

소유도 부질 없고, 욕심도 내려놓으라는 건 또 뭘까? 

불교는 모든것이 공하다는 인생관을 피력한다. 여기서 공하다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무無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그 서술방식또한 "~이 공하다"는 형식을 취하게 된다. 모든게 공한데 무엇을 집착할 것이며 소유하려 들겠는가?

그렇다면 모든게 공하다는 건 또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불교에 대한 관심이 크게 일고 있는 현시점에서도 불교의 정신과 참된 의미, 혹은 진리로서의 공성에 대한 깨달음에는 다들 무관심하거나 어려워하는 것 같다. 입문자로서 불교에서 말하는 空개념과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계기를 김영진 선생의 [공이란 무엇인가?]로 시작해서 개념을 잡는 것도 좋을 듯하다.

6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 공(空)이란 무엇인가
  • 김영진
  • 9,000원 (10%500)
  • 2009-11-10
  • : 601
"일체개고, 일체개공" - 모든 것이 고통이고, 모든 것이 공하다. 불교, 특히 선불교에서 공이 차지하는 위치와 의미에 대해, 입문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친절하게 설명한 책. 흔히 불교의 많은 개념들이 언어로 표현될 수 없다하여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키는데 이 책은 그러한 오해를 불식시키고 많은 사람들이 불교의 체계와 정신에 다가갈 수 있도록 많은 예시와 친절한 설명으로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다만 개념어 시리즈로 묶이다보니 한자를 본문글자보다 줄이는 편집 방법을 적용했는데 이 책에는 적절한 방법이 아닌 듯하다.
  • 깨침과 깨달음
  • 박성배
  • 9,310원 (5%280)
  • 2002-08-05
  • : 418
공성을 각성한다는 것은 단순히 공을 머리(이성)로 깨닫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난파를 경험하는 깨침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설파한다. 무엇보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의 논쟁을 역사적으로나 개념적으로 깔끔하게 정리했다. 박성배 교수의 영어책을 윤원철 교수가 우리말로 옮겼다.
  • 불교 철학의 전개
  • 한자경
  • 8,550원 (5%260)
  • 2003-06-10
  • : 2,565
석가의 일생과 불교의 근본교리는 물론이고, 인도 중국 한국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발전한 불교의 역사적, 지역적 발전사를 다룬다. 특히 불교의 근본교리를 설명한 2장에서는 오온과 무아, 연기의 원리와 공, 오온과 윤회, 깨달음과 해탈,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분화 등 불교 이론을 전반적인 정리했다. 그야말로 한 권에 불교의 이론과 역사적 발전을 다루었다고 볼 수 있겠다.
  • 자아의 탐색
  • 한자경
  • 9,000원 (10%300)
  • 1997-06-30
  • : 298
불교에서 마음을 닦아야 한다는 말은 도대체 무슨 뜻일까? 마음 자체가 본래 청정한 일심(一心, 如來心)이라고 했을 때 그 마음은 또 무엇일까? 불교에서 모든 것이 공하다고 했을 때 공한 것을 깨달은 주체는 누구인가? 이러한 모든 물음들이 결국 인간이란 무엇인가의 물음으로 귀결되며, 이를 '자아'라는 개념으로 접근했다. 칸트를 전공한 저자의 칼날같은 분석이 불교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킨다. 특히 공의 논리와 공의 윤리, 아공我空 법공法空 공공空空의 분석은 공에 대한 오해를 해소시키고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케 한다.
  • 우파니샤드
  • 석지현 옮김
  • 12,000
  • 1997-01-10
  • : 322
불교의 원형이 되는 고대 인도의 성전聖典. 우주와 인간의 근원에 대한 물음과 깨달음에 관한 탐구를 그린다. 우파니샤드를 이해하는 데 길라잡이가 될 여러 개념과 철학자들을 본서의 앞 해설 부분에 실어 독자들에게 도움을 준다.
  • 불교철학개론
  • 方立天
  • 7,200원 (10%400)
  • 1989-09-01
  • : 48
불교유파에서 공통적으로 받아들이는 3요소인 불佛, 법法, 승僧의 설명을 시작으로 인도와 중국에서의 역사적 발전, 불교의 주요 저작, 원시불교의 기본 이론을 자세하게 서술한다. 저자가 북경인민대학 교수라는 사실로도 알 수 있듯이 몇몇 개념이 사회주의적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불교철학을 체계적이고 분석적으로 서술했다는 점에서는 입문서로는 부족함이 없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