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오의 시대, 광기의 사랑
핫찌 2024/06/14 12:48
핫찌님을
차단하시겠습니까?
차단하면 사용자의 모든 글을
볼 수 없습니다.
- 증오의 시대, 광기의 사랑
- 플로리안 일리스
- 27,000원 (10%↓
1,500) - 2024-06-10
: 4,268
제목부터가 꽤나 강렬하다.
시대적 배경은 1929~1939년으로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불안과 혼란스러움을 안고 살아가고 있는 예술의 장르를 불문하고 작가, 화가, 감독과 배우 등등의 예술가들의 다양한 사랑 이야기들을 들려주고 있다.
프랑스에서 뉴욕을 향해 출항하는 호화여객선에서 미국의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와 독일의 여배우 ’마를레네 디트리히‘는 우연히 마주치며 둘은 첫눈에 반한다.
두 사람은 서로의 애칭으로 부르곤 했는데 디트리히는 ’크라우트‘ 라 불리고, 헤밍웨이는 ’파파‘라고 불렸다.
이후 수년, 수십 년 동안 수많은 편지가 오가는데 이 사랑은 늘 플라톤적인 사랑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파파 헤밍웨이는 둘의 관계가 지닌 문제점을 이렇게 설명한다.
간단하게 말해서 둘 사이에는 비극적이게도 “비동시성의 열정”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헤밍웨이가 디트리히를 미친듯이 사랑할 때면 “크라우트는 때마침 다른 사람과 낭만적인 관계에 깊이 빠져 있었고, 디트리히가 그 아름다운 눈으로 뭔가 찾아 헤매며 수면에서 헤엄치고 있으면 나는 마침 잠수해 있었다.“
사랑은 타이밍이라 했던가. 서로를 원하는 때가 이리도 다르니 어찌보면 둘의 사랑은 인연이 아니었을지도. 현 시대에서도 드라마나 영화, 실제 생활에서도 이러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어서 공감이 된 이야기였다.
독일의 초현실주의자 화가 ‘막스 에른스트’는 자신의 뮤즈이자 스위스인 예술가 ‘메레트 오펜하임‘에게 줄기차게 대시를 해 둘은 정열적이고 불타는 사랑을 한다. 하지만 뮤즈가 아니라 예술가가 되고 싶었던 오펜하임은 이 남자의 사랑에 더 오래 매여 있으면 안되겠다는 확신이 들어 그를 떠나기로 결심한다. 그렇게 오펜하임을 잃고서 혼란에 빠진 막스 에른스트는 대체물을 찾아 나선다. 때마침 취리히에서 의뢰받은 일을 하다가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배우 ‘로테 레냐’를 만나게 된다. 이 때 레냐는 첫 남편 ‘쿠르트 바일’에게 두번째로 사랑에 빠지기 전이었다. 이런 애매한 상황에서 만난 로테 레냐와 막스 에른스트는 몇 달 동안 사랑에 빠져 즐거운 나날을 보내고, 오펜하임에게도 써먹은 풍부한 글쓰기 기술로 에른스트는 레냐에게 뜨거운 편지 공세를 펼쳤다.
레냐는 그런 에른스트의 관심을 만끽했고, 쿠르트 바일은 레냐한테 새로운 애인이 생겼다는 소식을 듣는다. 그런 와중에 레냐가 애인과 방탕한 생활을 하는 데 수년 동안이나 돈을 대준 ‘쿠르트 바일’..
거기에 더해 파리에서 사람들이 막스 에른스트의 그림을 사게 해달라고 줄기차게 호소하기까지 한 이 남자.
쿠르트 바일은 레냐에게 이런 편지를 하기도 한다.
“이제 살아봐, 클레네. 많은 키스를 보내며, 당신의 크누티.“
이것이야말로 광기의 사랑이 아닐런지.
책을 다 읽은 뒤에도 충격이 채 가시지 않은 사랑이야기였다.
내가 발췌한 내용들 이외에도 무분별한 사랑이야기가 가득하다.
당시의 시대적 상황으로 미루어 보아 예술가로서 앞으로의 암담한 미래와 사회의 분위기로부터 온전히 마음 둘 곳 없었던 그들이 다양한 사랑의 형태로 환기시키려고 했던 건 아니었을까 싶기도 하고.
이러한 사랑들을 할 수 있는 열정이 수많은 예술가들을 탄생시킬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어주었던 것이 아닌지 하는 생각도 들었다.
PC버전에서 작성한 글은 PC에서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