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은 전반적으로 생물은 결국 유전자의 자기 복제와 생존을 위한 방식을 채택한다고 설명한다. 이 말이 상당히 불편하게 다가왔다. ‘나‘라는 한 영혼, 자아가 아닌 유전자가 자기 복제를 할 수 있는 고작 유전자 운반자라는 것도 불편했고, 과연 생물의 제일 큰 의미가 생존이라는 것도 불만스러웠다. 그러기엔 우리는 이타적인 목적을 가지기도 하고 협력하며 행동할 때도 많지 않은가. 일차적으로 떠오른 생각이었다.
🧬 보통 이타적인 것은 좋은 것, 이기적인 것은 나쁜 것이라고 여긴다. 지금은 바뀐 것 같지만, 얼마 전까지 한국의 조직에서는 자신이 희생해서 공동체에 도움이 된다면 어느 정도의 희생은 감수할 수 있다는 분위기였다. 그런데 그런 이타적인 마음도 사실 자신의 공동체를 보존하고자 하는 이기심이 함께 한다. 이 이기심을 나쁜 것으로 분류하기에는 상당히 애매해진다. 개체 간 복잡한 관계와 심리적 구조 속에서, 이타심은 좋은 것이고 이기심은 나쁜 것이라고 100% 일대일로 연결 짓는 건 어렵다.
🧬 인류 자체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서로 인간끼리 돕는 이타심이 있어야 하지 않았을까. 그래야만 살아남을 수 있지 않았을까. 초기 인류에게 이타심이 없었다면 절멸했을 것 같다. 사회성과 집단지성을 발휘한 배경에는 거꾸로 살아남기 위한 이기심이 있었을지도. 그렇게 보면 이타심과 이기심이 마냥 반대되는 게 아닌 동전의 앞뒷면 같다. 계속 이기심, 이타심을 물고 늘어지는 건 내가 다른 챕터에 대해 읽고도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5년전에도 <이기적 유전자>를 읽었으나, 글자를 읽었을 뿐 내용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런 생각을 해봤다. 암이나 치매같이 예전에 없던 병이 생긴 건, 유전자가 인류 전체라는 종을 보존하기 위해서 도태되는 사람을 없애는 방식이 아닐까 하는. 음, 너무 나갔다. 우리가 유전자의 복제, 보존을 위한 운반자 정도라면 삶에 의미를 잃을 것 같다. 다시 1장으로 되돌아가 고민해본다.
생명에는 의미가 있는가? 우리는 무엇 때문에 존재하는가? 유전자만 남기고 모든 것을 잃는다면 무슨 이익이 있겠는가, 로 되묻고 싶다. 안되겠다. 3독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