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서 브랜딩이 필요합니다
수많은 이름 중에 단 하나의 브랜드가 되기 위한 방법
전우성 (지은이) 책읽는수요일 2021-10-27, 200쪽, 마케팅
#딩팅 #브랜딩×마케팅
#빈칸놀이터독서모임
🌳 저자는 우리 회사도 브랜딩이 필요하다는 스타트업 대표들에게 왜 필요하냐고 묻는단다. 나는 내 자신을 브랜딩이 필요하다는 스타트업의 대표로 설정하고 이 책을 읽었다. 스타트업 대표가 아니라도 필요하니까. 정말 나는 브랜딩이 왜 필요한 걸까. 내가 좀 더 충분히 깊이, 그러면서도 바쁘지 않게 선택과 집중을 해서 내 원하는 대로 살아가기 위해서가 아닐까? 그래야 내가 지금보다 더 집중해 읽고 배우고 대화하고 남기고 나눌 수 있으니. (최근 읽고있는 다른 책, 인생의 짧음에 나온 인문서에는 자유는 선택이며, 선택은 다른 가능성을 포기해야 한다고 한다. 결국 그리 사는 충분한 삶을 살면 인생이 짧지 않다는 말을 하는 것 같지만, 이제 50쪽을 갓 넘게 읽어 추측만 할 뿐이다. 인문서와 마케팅서, 이 다른 둘이 연결되는 느낌이라니.)
🌳 사실 내게는 퍼포먼스가 더 중요하다. 어차피 내가 만든 책이 다 팔려도 남는 게 없는지라 매출은 그리 신경쓰지 않았는데, 얼마전에 생각이 바뀌었다. 독립출판 제작자들은 결국 매출이 바로 브랜딩이고 브랜딩이 매출이 되는 작은 시장. 그리고 매출은 한 제작자 뿐 아닌 다른 제작자와 책방, 독립출판에 엮여있는 모두가 같이 클 수 있는 제일 아래 위치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갑자기 들었다. 워낙 작은 분야라 그 안에서 널리 알리고 판매하는 게 경쟁도 경쟁 부스러기도 아닌, ˝상생과 협력˝이 될 듯. 그래서 같이 성장하기위해 열심히 팔아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게으른 나는 계속 홍보를 미루고 있다.)
🌳 책을 읽으면서 결심한 것들. 내가 할 수 있는, 사소하지만 의외성과 섬세한 감동을 줄 수 있는 게 무엇일지 고민중이다. 이 책을 완독할즈음 답을 써보겠다. 내가 만나는 접점은 페어와 sns인데... 일단 난 sns를 정말 나의 기록을 위해 하는 게 90%인지라...제주북페어에서는 어떻게 할지도 고민해보고, 기타 등등을 고민해 역시 완독때까지 미약한 답이라도 찾아봐야겠다. (그러나 제주북페어까지도 답을 찾지 못했다.) <디퍼런트> 챕터를 읽으며 남들과 다른 걸 찾아 함께하는 작업을 할 수 있는 게 뭘까도 생각해봤다. ‘나눔, 글쓰기, 단행본 만들기‘코스를 계획하고 있는데 방법적으로 새로운 걸 더 고민해봐야겠다. 이 부분은 드바로크에서 진행 예정인데 세심함이 필요한 듯.
🌳 나누고 싶은 구절들
🌱 그 브랜드 자체의 이미지와 모습을 만들어가는 일이자, 그 브랜드를접하는 사람들에게 그것이 상징하는 무언가를 전하는 행위이다. 이것은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하는 일이기에 브랜딩에는(브랜드가 세상에서 사라지지 않는 한) 완성이란 것이 있을 수 없다.
19p
🌱 사실 연애를 할 때나 사람을 사귈 때를 생각해보면 쉽게 수긍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의 마음속에 들어가 나를 좋아하게만드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지 않은가?
33p
🌱그런데 사용하는 앱이 늘어갈수록 각 앱에서 보내는 푸시 메시지도 쌓여가자, 유저들은 점차 그것에 피로감을느끼고 푸시 알람을 꺼두기 시작했다. 조사 결과 푸시 메시지때문에 앱을 삭제해버린다는 사례도 많았다. 그래서 늘 그랬듯 푸시 메시지에 있어서도 29CM는 남들과는 차별화된 방법을 고민해보기로 했다.
성찬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91p
(너무 남발되는 홍보나 알람이 피곤해지고 삶에 집중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다른 사례지만 어떤 단체방은 대화가 미친 듯이 오가서 알람을 끄고 시간될 때 보다보니, 정작 중요한 알람도 휩쓸려 확인을 못해 헤어질 결심을 하고 있다)
🌱이렇듯 브랜딩 결과물을 공유하는 과정도 또 하나의 브랜딩으로 확장될 수 있다.
145p 당신의 질문이 나의 자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