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마당, 앞마당, 넓은 앞 계단, 길거리 등은 모두 사람들이 서로를 바라보고, 머무르고, 이야기를 나누도록 장려하는 장소이다. 사람들이 보고, 머무르고, 이야기 나누는 장소에는 공동체 의식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 P118
비록 이런 차이 중 일부는 현관 계단 오르기가 신체에 주는 직접적인 이로움과 관련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못지않게 중요한 사실은 주거지 앞에 이 같은 준사회적 공간이 없는 이들이 지역 사회와의 약한 유대 탓에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있었다는점이다.
- P121
이렇게 새로 조성된 동네는 사람들을 "수니파 · 알라위파·시아파. 다양한 종파의 기독교인으로, 그리고 마을 주민과 유목민으로" 분리했다. 이렇게 분리된 집단은 따분하고 진지하고 익명적인 건물에서 "공유된 정체성이나 장소에 대한 애착 없이 사회적 침체와 내향성만이 강화되는 삶을 살았다.
- P129
건물을 짓는 것은 환경에 나쁘고, 건물을 지었다 허물고 그 자리에 새 건물을 짓는 것은 환경에 훨씬 더 나쁘다.
따분한 건물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
- P139
흥미로운 것이 보편이고, 따분한 것은 이상했다.
- P163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내머릿속에는 디자인의 원리에 대한 이론과 철학이 있는 한편 여러 재료와 과정이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더 나은 것을 만들어 내는지에 대한 직감도 있었다. 발상은 스케치북 위 드로잉에서만 오지 않았다. 제작은 내게 무엇이가능한지 가르쳐 주었고, 그 한계를 뛰어넘도록 용기를 불어넣었다.
- P174
화가·소설가·음악가 등 다른 예술가와 마찬가지로 건축가도 당대의 예술적 유행에 쉽게 휩쓸린다. 이 책에서 지금껏 살펴보고 묘사한 건물들이 바로 그런 방식으로 생겨났다. 따분함이라는 특성은단순히 비용 절감이나 게으름, 상상력 부족의 결과가 아니다. 건물은 우연히 혹은 실수로 따분해지지 않았다. 건물의 따분함은 다분히 의도적이다. 100년 전 불어닥친 예술적 열풍의 결과인 것이다.
- P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