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물상자
한강 (지은이), 봄로야 (그림) 문학동네 2008-05-22, 71쪽, 동화
#빈칸놀이터프로그램
#문학을낭독하는 사람들
#문낭사
🐦 문낭사 2025년, 1월모임으로 추천한 책. 2024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 작품 중 이전 읽었던 소설 말고 동화도 궁금해졌다. 2024년 12월은 너무도 혼란했고 인간성, 인류애라는 걸 다른 때보다 느끼기 어려운 연말이었다. 2025년 새 해는 동화를 사랑할 수 있는 여유, 다른 사람의 아픔을 볼 수 있는 마음으로 낭독을 시작하고 싶었다.
🐦 이렇게 눈물 종류가 많은지 새삼 느꼈다. 읽으면서 연보랏빛 눈물은 어떤 걸까, 이런 색의 눈물은 어떤걸까 궁금했다. 점점 울 일이 많지 않은데, 최근에 무슨 일로 나는 울었는지도 잠깐 생각해봤다. 내가 보통 흘린 눈물은 어떤 눈물이었는지 궁금하다. 나를 위한 눈물일지 누군가를 위한 것인지. 자연을 보고 감탄해서 흘린 눈물일 수도 있고, 아니면 나의 음흉함을 들킬까 봐 겁나서 바들바들 떠는 눈물일 수도 있고.
🐦 흔히들 악어의 눈물이라고 하는데 악어가 어떻게 눈물을 흘리는지 궁금해졌다. 개인적으로 더 궁금한 눈물은 책에 나오는 붉은 눈물이다. 고통스러운 일을 겪은 뒤에, 울고 난 뒤에 그 눈물까지 마르고 시간이 한참 지난 뒤에, 처음으로 다시 흘리는 눈물 이 붉은 눈물이라고 하는데... 이런 눈물은 경험하고 싶지 않다.
🐦 아이는 왜 피리소리를 듣고 울었을까. 알 것 같으면서도 잘 모르겠다. 아이가 세상을 이해 한 건가? 뭉클한데 이유를 모르겠다. 어른을 위한 동화가 맞다. 현대에서는 감수성이 깊고 감정적인 것들, 그런 모습이 사회생활하면서 약점으로 생각되기도 하는 듯. 그래서 감추게 되는 게 아닐까.
🐦 낭독을 하다가 김연수 작가의 ‘세계의 끝 여자친구(문학동네 2009. 9)‘ 소설집이 생각났다. 소설의 인물들은 지금이 아름다워서 주목하지 않고, 그 아름다움이 전부 없어지는 걸 아는 마음을 아는 사람들이다. 너저분한 것도 아는 사람들이다. 아무것도 몰라서 타인에게 친절할 수 있는 사람들이 아닌 바닥을 알기에 그럴 수 있는 사람들이다. 눈물상자와 결이 다르지만, 비슷한 무언가를 계속해서 느꼈다.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게 쉬워서 하는 게 아니라, 아프지만 애쓰고 노력하는 마음. 쉬워서 하는 게 아닌 바닥을 알아도 하는, 살아가는 것.
![](https://image.aladin.co.kr/product/217/37/cover150/8954605818_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