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1
평110님의 서재

폭력이 일어나는 순간에는 폭력과 그 분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요소들이 있지만, 무엇보다 신체 자세, 지시 행위, 언어 표현은 폭력이 일어나는 구체적인 사회적 상황에서 비로소 폭력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된다.- P31
더 나아가서 가정폭력의 행위와 맥락이 직접적 분석의 대상이 아니라, 언어를 매개로 조사되고 분석되는 것임을 숙지해야 한다.- P49
일반 폭력, 그리고 가정폭력이라는 특수 폭력은 타인을 (신체적으로) 가해하(려)는 행위로서, 종종 그것의 경계가 뚜렷이 객관적으로 특정되는 행위들만을 지칭하지 않는다. 이것이 이 논문을 통해 확실히 전달하고 싶은 요지이다. 폭력은 오히려 집요하고 과정적이며, 늘 어디로 튈지 모르는 다층적 사건이다. 거기에는 특정 관계의 동학과 내력 속에서 상호 연결되고 상호 의존적인 여러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P50
성폭력 피해 아동의 주변 환경에 있는 타인들의 침묵은 공적 인식에서 많은 경우 은폐되어왔으며, 그 대신 희생자의 침묵이 언급되었다.- P76
또한 아동은 신뢰하는 사람 혹은 적어도 아는 사람에 의한 성폭력을 경험한 경우에는 감정적으로 혼란을 느끼며 종종 신실성의 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부담을 지게 된다.- P87
저마다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설명의 시도는 선입견의 검증이 아니라, 도덕적 분개를 노골적으로 과시하는 데 쓰이는 계속되는 질문으로 흘러간다고 한다.- P97
이 경우 전형적인 것은 특정한 언어 표현들이 첨가되는 것인데, 예를 들면 어떻게 ‘하필이면‘ 아이들에게 ‘그런 짓‘을 할 수가 있는지, 왜 ‘모든 범행자가 소아성애자인 것은‘ 아닌지, 어떻게 엄마가 이를테면 사탄 숭배 컬트에서 일어날 만한 아동들에 대한 제의적인 성폭력과 같은 ‘그런 짓‘을 허용하는 일이 ‘오늘날 도대체 어떻게 가능한지‘ 를 묻는 식이다.- P85
"좌파 포퓰리즘이 요구하는 권력자와 언더독의 헤게모니 투쟁이 기존의 자유적 제도 질서 안에서 행해지는 것이라면 왜 이를 굳이 민주주의란 이름 대신 좌파 포퓰리즘이란 용어로 대체해야만 하는 것일까?"- P183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