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야말로 아이가 학교를 졸업할 때 공동체의 적이 되지 않도록 현명한 통찰을 바탕으로 아이의 공동체 감정을 제고하기에 적합한 장소다.
53-54p
그들 중 많은 아이는 성인으로 인정받으려는 열망 때문에 성인의 장점보다 오히려 실패를 받아들이기 쉬운데, 왜냐하면 이것이 공동체에 봉사하기 등보다 훨씬 쉽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56p
두 사람이 풀어야 할 과제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개개인이 풀어야 할 과제와 같은 방식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 사랑의 문제를 제대로 풀기 위해서는 마치 두 사람이 합쳐져 하나의 존재가 되듯이 두 사람이 저마다 자신을 완전히 잊고 상대방에게 헌신해야 한다. 우정, 춤이나 놀이 같은 과제, 동일한 도구를 가지고 동일한 물체를 대상으로 작업하는 두 사람의 노동 등의 경우에도 어느 정도는 이와 같은 필연성이 존재한다. 이런 구조에서는 불평등, 서로에 대한 의심, 적개심 등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5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