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하고 있는 일을 내가 온전히 통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느낄 때더 힘들고 지친다. 그래서 일을 처음 시작했을 때나, 아직 직급이낮을 때에는 같은 일을 하더라도 더 빨리 지치고 신경이 예민해지기 쉽다.- P18
나의 적정을 한번 파악해본다. 다른 사람의 시선과상관없이 나의 생존에 위협이 되지 않으면서도 불편함 없이 만족스러운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를 찾아내는 것이다. 그리고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나의 적정 안에서 효율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래야 배고픔, 결핍과 같은 생존의 두려움에서 발동한 불안으로부터 나를 지킬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지치지 않고 꾸준히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동력이 된다.- P36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고 싶어 하지 않지만, 살아가면서 어떤어려움이 닥쳤을 때 대부분 확실한 원인을 찾기 어렵다. 잘 모른채로 모든 상황이 종결될 때가 더 많다. 그러니 너무 빨리 분명한 답이나 원인이 머릿속에 떠오른다면 실은 그것이 정답이 아니라, 내가 그냥 그렇게 믿고 싶어 하는 가능성일 경우가 더 많다. 더욱 조심해야 하는 이유이다.- P48
시간이 직선으로만 쭉 뻗어나가는 것 같지만, 아침에 일어나밤에 잠들기까지 우리가 하는 행동은 엇비슷한 루틴 속에 있다.
이 느낌은 원을 그리듯이 움직인다. 제자리에서 변화 없이 돌아가는 것 같지만 이런 순환성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리추얼‘이라고도 하고, ‘의식(儀式)‘이라고도 한다. 매번 같은 곳에서 같은 시간에 비슷한 일을 하는 것은 안정감을 준다.- P56
재능기부라는 말로 보상을 주지 않거나 터무니없이 적은 금액의 제안은 단호하게 거절한다. 재능 자체를 기부하기보다 돈으로 받아서 그 돈을 기부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한다. 재능은 기부의 대상이 아니라 내가 지켜야 할 소중한 자원이다. 우선 평소 내가 제공하는 일의 가치에 대한 금전적 보상의 기준표를 갖고 있는 것이좋다. 이를 기준으로 삼아서 다른 보상이 제공된다면 내 기준으로 환산하여 이 일을 받아들일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P83
짜증이 나고, 거슬리는 일이 늘어난다면 오늘은 내가 지쳤다는 신호이다. 여기서 멈추라는 뜻이다. 이 신호를 무시하면 결국 큰 사단이 난다. 이럴 때일수록 일상생활의 리듬을 안정적으로 가져가고규칙적인 식사와 수면 시간을 확보하고 지켜야 한다. 몸이 지치고 리듬이 깨지고 나면 아무리 마음을 잘 다스리려고 해도 흔들릴 수밖에 없고 쉽게 지쳐버린다. 그런 면에서 번아웃을 그냥 마음의 문제로만 봐서는 안 된다. 신체 컨디션이 건강하게 유지된다면 심리적으로 지쳤다 해도 번아웃이라고 할 만한 상황은 잘오지 않는다. ‘몸 튼튼, 마음 튼튼‘이지만, 순서는 몸이 먼저다.- P97
어느 정도는 원인을 찾아보다가, 보이지 않으면 거기서 멈추면 된다. 더는 돌아볼 필요 없다. 앞으로나아가자- P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