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hope&joy의 서재
  • 2021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 문진영 외
  • 9,000원 (10%500)
  • 2021-10-05
  • : 1,478




쓰는 사람의 입장에 서본 사람은 그 과정의 고단함과 치열함을 알기 때문에 함부로 혹평을 할 수가 없다. 아마추어 소설가의 소설 속에도 마음에 남아서 맴도는 문장이 있기에 나는 독서를 할 때는 형광펜이나 플래그 등을 준비한다. 스치고 지나가는 문장들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 2021년 김승옥 문학상 수상작품집에도 꽤 많은 색깔의 플래그가 붙여졌다. 반은 작품 속 문장이었고, 나머지는 작가노트에 적힌 작가의 고백이었다.

- 어쩌면 어떤 찰나들은 너무도 결정적인 동시에 사소해서, 눈치 채지도 못한 사이 내 안쪽 어딘가에 박혀 있을지 모른다. 그래서 나는 어떤 사람이 되었다는 것. 우리는 이런 우리가 되었다는 것. 혹은 되어버렸다는 것. 내가 그 찰나들을 붙잡아 기록해둔다면. 나의 소설쓰기가 그런 작업이 된다면 어떨까 생각했다. 33.p

문학상 수상작품을 읽을 때는 작품뿐만 아니라 작가의 말을 눈여겨본다. 문진영 작가의 고백이 책을 다 읽고 나서도 마음에 남았다. 얼마나 많은 경험들이 내 마음속에 숨어있을까. 나도 찰나의 선택 때문에 많은 시간이 흘렀는데도 잊혀 지지 않는 친구가 있다. 그때 나는 스무 살이었기 때문에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기보다 나의 자존심을 더 중요하게 여길 수밖에 없었다. 할 수만 있다면 그때로 돌아가 나의 솔직한 마음을 전하고 싶지만 그럴 수가 없다. 그래서 사람들은 소설을 쓰고 읽는 것인지도 모른다.

<두 개의 방>을 읽으면서 중학교 1학년 때, 은미처럼 늦잠을 자다가 1교시가 지나고 등교를 해서 반 전체를 즐겁게 해주었던 친구가 생각났다. 호텔지배인이 되어 있는 멋진 내 친구는 지금도 잠이 많아 출근할 때 늘 힘들어 한다. 작품 속 한 문장만으로 몇 년 동안 만나지 못한 친구를 소환해낼 수 있다니. 그뿐만 아니라 두 사람이 함께 걸어가며 이야기를 나누는 종로와 북아현동, 광화문과 신촌 거리 곳곳에는 나와 친구들의 이야기들이 숨어 있다. 그들의 발길이 닿는 곳의 골목들과 카페, 상점 거리 곳곳이 앞에서 보는 듯 눈에 선하다. <두 개의 방>을 읽으며 잊고 있었던 지난날의 추억을 떠올리고 많이 웃었다. 소설이 있음직한 이야기라 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의 이야기 위에 나의 이야기를 덧씌울 수 있기 때문인가 보다.

솔직한 심정을 말한다면 수상작보다 내게 더 와 닿은 작품은 정용준의 <미스터 심플>과 손흥규의 <지루한 소설만 읽는 삼촌>이었다. 조금 전까지만 해도 저녁에 무엇을 먹을까 함께 고민하던 연인이 곧이어 세상에 없는 사람이 되고, 어학연수를 떠난 부인과 아들에게 이별을 통보받고 외면당한 뒤, 주어진 시간을 혼자 통과해야 하는 사람은 그 상황 속에서 어떤 마음으로, 어떻게 살아갈까.

소설은 질문을 던지고 해결책을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들의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정답은 없지만, 각자만의 해답이 있는 것처럼.

- 자기 연민에 빠진 사람은 되고 싶지 않다. 상처받은 이의 얼굴을 하지 않을 것이다. 할 일을 할 것이고, 잘 자고, 잘 먹고, 잘 지낼 것이다. 215.p <정용준/미스터 심플 중>

그래서 자기의 일상을 지키고 삶의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으려고 애쓰는 두 사람이 보였다.

<지루한 소설만 읽는 삼촌>의 아버지는 가족의 안위와 생계밖에 모르는 사람이다. 그 시절 가장들은 가족을 희생시키면서까지 가정을 지키려는 모순을 안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모르고 살았다. 그래서 나는 삼촌보다 오로지 먹고 사는 것과 가족의 생계밖에 모르는 아버지의 시간 속에 남겨져 있는 어린 시절 에피소드가 참 좋았다. 그런 형에게도 집나간 이복동생을 찾아 헤매는 순수한 모습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해주니까. 지금 우리가 바라보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며 그것이 전부라고 단정 지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윤대녕의 <시계입구가게앞검문소>는 읽는 동안 내내 반가웠다. 대화부분에서 젊은 사람들의 대화가 맞나 하고 의아해했지만, 젊은 감각을 잃어버리지 않으려고 애써 문장을 다듬는 작가의 노력이 느껴졌다.

그 외 <완전한 사과/ 안보윤>도 기억에 남는다. 타인에게 해를 입힌 나의 가족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지. 나의 가족이라 해서 무조건 잘못을 덮어줄 수 없다는 것. 그뿐 아니라 가족은 보이지 않는 뿌리로 깊이 이어져 있기에 한 사람이 느끼는 고통을 다함께 공유할 수 밖에 없다는 것에도 공감한다. <완전한 사과>를 비롯하여 단편집<<소년7의 고백>>에서 보여주는 안보윤 작가의 세상을 향한 시선과 치열함에 독자로서 존경심을 느낀다.

<나의 사랑스럽고 지긋지긋한 개들>을 읽으며 제목이 우리의 삶을 나타내는 메타포로 다가왔다.

- 우리는 이루는 모든 것들이 여전히, 낯설고 우스꽝스럽다. 낯설고 우스꽝스러워서 곧잘 웃는다. …… 너희는 냄새로 시간의 변화를 알아채는 종족이니 보이지 않는 눈으로도 들리지 않는 귀로도 불편한 다리로도 더 많이 보고 더 많은 것을 듣고 더 먼 곳까지 갈 수 있어. 갈 수 있다. 나는 웃고,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생명체를 주시하면서 기억하면서 길을 간다. 나는 길을 간다. 예정된 상실을 조금씩 미루면서. 나는 길을 간다. 나의 사랑스럽고 지긋지긋한 개들과 함께. 196.p <나의 사랑스럽고 지긋지긋한 개들 중>

<우리집 여기 얼음통에>에서는 가난한 두 젊은 남녀의 일상이 현실감 있게 다가왔다. 추위와 오래된 집이 두 사람의 현실같았다. '두 사람의 지금 현재의 삶'이 여기 얼음통 속에서 꽁꽁 얼어버렸고, 얼마 안 있으면 곧 터져버릴 것 같은 위기감을 느꼈다.

- 지난겨울 그토록 춥지만 않았어도 한 시절의 고비를 극복하고자 한 사람을 선택하는 일따윈 하지 않았을 텐데. 그런 식으로 사랑이 줄줄 새도록 내버려두진 않았을 텐데. 273.p <우리집 여기 얼음통에>

지금도 수많은 작가들이 그들만의 시간과 공간 속에서 사람들의 일상과 다양한 경험, 인생 등을 문장 속에 녹이며 계속 쓰고 있을 것이다. 작가의 작업은 오롯이 혼자만의 힘으로 마주한 시간을 통과하며 계속 나아가야 하는 것이기에 쓰는 동안 외롭거나 힘들 수 있다. 그래도 쓰기를 포기할 수 없어 밤새도록 자판을 두들기고 있을 작가들을 응원한다. 무언가를 열심히 쓰는 모든 사람들을 말이다. 소설을 읽으며 우리가 어떤 존재들인지 한 번쯤은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할 수 있기에. 다음해에도 기꺼이 읽어줄 마음을 품고 말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